"국방기술 심각한 상황…로봇·AI로 저력 키울 때"

한국국방기술학회 세미나

디지털경제입력 :2024/12/21 08:07

국방기술이 심각한 상황에 부딪혔다고 생각합니다. 예전 중국 드론이 마구 날아다닐 때, 국가 차원에서 소형 드론 연구에는 소극적이었습니다. 그러다가 DJI가 시장을 지배하게 됐죠.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지상과 해양 로봇 영역은 이제 시작입니다.

박용운 국방로봇협의회장은 19일 서울 노원구 광운대학교에서 열린 한국국방기술학회 세미나에서 ‘국방로봇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발표하며 업계 기술 상황에 대해 이같이 진단했다.

박 회장은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고등기술원장을 지낸 국방기술 전문가다. 지난달 한국로봇산업협회 산하에 새로 출범한 국방로봇협의회로 합류해 초대 회장을 맡고 있다.

박 회장은 세미나에서 “로봇과 인공지능 기술이 결합해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며 “특히 현재 이원화되고 있는 신냉전 시대에 우리에게 큰 기회가 있다”고 분석했다.

박용운 국방로봇협의회장이 19일 한국국방기술학회 세미나에서 '국방로봇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그는 국내 국방 기술력에 로봇을 활용하기 위한 4개 중점 전략을 소개했다. ▲전투효과 극대화 ▲국방개혁 가속화 ▲신속방위 산업화 ▲등장기술 기반 융합혁신 가속화를 꼽았다.

박 회장은 “국방개혁 관점에서 인력 줄어드는 만큼 로봇을 두 배로 투입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만들고, 과학 기술자는 산업과 국방을 혁신하는 임무를 동시에 추진하면서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웅희 전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은 ‘로봇기술 및 산업 정책과 전망’에 관해 소개했다. 그는 “로봇은 작지만 모든 산업에 융합되면 엄청난 시너지를 갖고 있다”며 “사족보행 로봇이 감시·정찰 분야에 활용되는 사례도 점차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손 전 원장은 “트럼프 2.0 시대가 오면서 한국은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맞고 있다”며 “로봇이 방산과 조선 분야에서 부족한 인력을 채워줄 대안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손웅희 전 한국로봇산업진흥원장이 19일 한국국방기술학회 세미나에서 '로봇기술 및 산업 정책과 전망'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차도완 국방대 국방AI·로봇학과 교수는 ‘국방로봇의 주요 기술 및 발전방향’에 대해 발표하면서 “우리는 반드시 국방 로봇을 개발하고 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차 교수는 “국가 안보 환경이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전쟁의 목적은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의 효과를 달성하는 방향으로 계속 진화할 것이고, 수단의 측면에서는 과학화·무인화로 전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차 교수는 “핵을 가진 국가와 갖지 못한 국가를 구분하듯이, 어느 순간에는 국방 로봇을 가진 나라와 그렇지 못한 나라를 나누는 날이 올 것이라고 본다”며 “로봇 개발을 포기하거나 멀리 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하태준 현대로템 책임연구원은 국방로보틱스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했다.

하태준 현대로템 책임연구원이 19일 한국국방기술학회 세미나에서 '국방로보틱스 연구개발 현황'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신영빈 기자)

하 책임은 “기존에 막 흙바닥에서 돌아다니던 무기 체계보다도 도심 지역에서 움직일 수 있는 무기 체계들이 점차 필요해지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들 간의 통신망을 확보하고 사용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들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점차적으로 무인 체계로 가겠지만, 그 과도기적인 단계에서는 유무인 복합 체계가 활발하게 연구가 되고 전력화될 것”이라며 “K1 전차를 무인 로봇으로 개발하기엔 시간이 많이 필요해서 우선 원격 조종 방식으로 전환한 바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사람을 대체하기 가장 좋은 플랫폼은 휴머노이드가 될 것”이라며 “무인 체계에서 사족보행 로봇도 결과적으로는 과도기에 있는 기술이라고 본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민지홍 국방과학연구소 국방AI센터 3실장은 ‘AI 기반 국방 로봇과 자율시스템, 유무인 복합체계’를 중심으로 발표했다.

민 실장은 “유무인 협업은 중간 단계이고, 점차 로봇 간 협업이 가능한 형태로 나아갈 것”이라며 “기본적인 협업 기술에는 인공지능과 통신 기술이 핵심이며, 신뢰할 수 있는 로봇을 만드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