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개인정보와 데이터 보호를 논의하는 장을 마련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18일 '제6차 개인정보 미래포럼'을 개최했다.
올해 마지막 미래포럼 주제는 이달 공개 예정인 '인공지능(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모델'과 '합성데이터 생성·활용 안내서'다.
이와 관련해 이날 포럼에선 서울대 박상철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의 AI 프라이버시 리스크 관리모델에 관한 발제가 이뤄졌다. 이어 인하대 김승환 데이터사이언스학과 교수의 안전한 합성데이터 생성·활용 방안에 관한 발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관련기사
- "AI 시대 개인정보,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개인정보위, 정책 설명회 개최2024.12.12
- 현대해상·악사 등 보험사 위법 마케팅 적발…개인정보위 '강력 제재'2024.12.12
- [인사] 개인정보보호위원회2024.12.10
- AI 개인정보보호 등 299건 디지털혁신기술 표준 승인2024.12.06

그동안 개인정보위는 데이터 처리가 복잡하고 변화 속도가 빠른 AI 시대에 대응해 세세한 규정이 아닌 원칙 기반 규율체계 마련 등의 개인정보 정책 방향을 설정해 왔다. AI 개발 핵심 재료인 비정형 데이터, 공개된 개인정보, 이동형 영상기기에 의해 촬영된 영상정보 등에 대한 처리 기준도 제시했다.
개인정보위 관계자는 "개인정보 보호라는 핵심 가치를 지키면서도, 공익 목적의 AI 개발이 활성화되고 국민 삶을 풍요롭게 하는 혁신적인 AI 서비스가 탄생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보호 규율체계를 지속 정비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