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도 소득따라 불평등하게 왔다

'칩플레이션' 국내서도 코로나19 때 나타나…저소득층-고소득층 실효 물가 1.3%p 차이

금융입력 :2024/12/18 14:00    수정: 2024/12/18 14:38

저가 상품일 수록 물가 급등기에 더 빠르게 가격이 상승하는 '칩플레이션(Cheapflation)'이 코로나19 대유행 기간 동안 우리나라에서도 있었던 것으로 조사됐다.

칩플레이션 상황선 저렴한 상품을 사더라도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비싼 상품보다 가격 상승률이 높기 때문에, 싼 제품을 주로 선택했던 취약 및 저소득층이 인플레이션의 타격을 더 입었을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한국은행은 '펜데믹 이후 칩플레이션과 인플레이션 불평등' 보고서를 내고 코로나19 유행 이전이었던 2019년 4분기와 코로나19 유행이 한 차례 지난 2023년 3분기의 가공식품 데이터를 통해 추정한 결과 소득 하위 20%의 저소득층이 실제로 체감하는 실효 물가상승률은 13.0% 였던 반면 고소득층은 11.7%로 1.3%p 간 차이가 있다고 밝혔다.

(사진=이미지투데이)

이는 저소득층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물건을 구입할 확률이 높고 고소득층은 이보다는 비싼 물건을 살 확률이 높다는 가정 하에서 분석이 이뤄졌으며, 품목을 특정하는 대표 상품 대신 브랜드와 가격, 판매점별로 가격 분위를 나누는 대한상공회의소 스캐너 데이터를 활용해 도출됐다.

스캐너 데이터 중 가공식품 부문을 활용했으며 가격집단을 가장 저렴한 군(1분위)부터 가장 비싼 군(4분위)로 나눴다. 가격 분위별 스캐너 물가지수(기준년도 2019년)를 산출한 결과 팬데믹 이후 저가 상품이 속한 1분위 상품 가격 상승률이 4분위에 비해 더욱 높게 나타났다. 1분위 상품가격은 16.4% 올랐으나, 4분위 상품가는 5.6% 상승했다.

한국은행은 주로 저렴한 상품에 쓰이는 수입산 원재료 비용의 상승과 저가 상품의 수요가 늘어났다는 점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한국은행 조강철 조사국 물가동향팀 차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수입 원자재 가격의 급등이 있었다"며 "저가 상품 판매 비중이 늘어난 반면 고가 상품 매출 비중이 줄면서 저가 상품 가격이 더 높아지게 됐다"고 설명했다.

칩플레이션은 저가 상품 지출 비중이 더 높은 저소득층에게 주는 영향이 커, 인플레이션의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관련기사

조강철 차장은 "칩플레이션은 물가 급등기에 나타나며 각 소득 계층이 주로 구입하는 상품의 가격 수준에 따라 실효 물가가 달라진다"며 "칩플레이션은 2022년 12월까지 확대되다가 이후 디스인플레이션이 진전되면서 점차 줄어드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정부 정책 측면에서는 향후 인플레이션이 높은 시기에 저소득층의 인플레이션 부담을 완화시킬 수 있는 중·저가 상품 집중 선별 지원이나 할당 관세 등을 고려해야 한다"고 부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