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이 반도체에 이어 이차전지 업계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자 정부가 업계와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3일(현지시간) 중국 상무부는 이차전지 음극재 핵심 원료인 흑연이 최종적으로 미국에 수출되는 과정을 꼼꼼히 들여다보고 사안에 따라 수출을 금지할 수 있다는 방침을 홈페이지에 공지했다.
중국 정부는 이날 미국 대중 반도체 추가 제재에 반발해 갈륨, 게르마늄, 안티몬 등 반도체, 디스플레이, 광학장비 등 제조에 쓰이는 희소금속 대미 수출을 금지했다.
이중 이차전지 업계는 음극재 핵심원료 흑연이 금지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흑연의 경우 전자와 같은 수출 제한은 아니지만 수출 허가를 할 때 더 엄격하게 최종 사용자와 용도를 검증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국내 배터리 업계는 음극재 대부분을 중국에서 조달하고 있다. 중국이 천연·인조 흑연에 걸쳐 세계 음극재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대체 공급망을 찾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포스코퓨처엠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음극재를 생산하고 있지만, 인조흑연과 달리 천연흑연 제품 원료는 아직 거의 전량 중국 협력사에 의존하고 있다.
대중 흑연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중국 정부가 일부 흑연 제품 수출을 금지할 경우 공급망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국이 미국 기업인 포드나 제너럴모터스(GM) 등을 지목하며 흑연 수출은 금지할 경우 이 기업을 최종 고객사로 둔 한국 기업이 한국에서 제조한 이차전지를 수출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중국 정부 움직임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대응하기 위해 정부도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배터리산업협회 등 업계 관계자들과 비공개로 간담회를 갖고 중국의 이번 수출 통제 강화 조치 내용을 진단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국내 이차전지 업계는 이미 미국 정부 인플레이션감축법(IRA)상 중국산 흑연을 배제하는 해외우려집단(FEOC) 규정에 발맞춰 여유분을 확보하는 등 여러 방안을 마련 중이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기존 IRA를 통해 중국산 흑연 비중을 낮추고 여유분을 확보하려는 움직임이 올해 초부터 있었기 때문에 기존 대응의 연장선 정도의 논의가 있을 듯하다"며 "최악의 시나리오는 수출 통제지만, 아직은 수출이 조금 더 복잡해지고 어려워지는 정도의 압박이 이어지는 수준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中 무역 보복, 더 많은 원자재로 확대될 수도"2024.12.04
- 中, 갈륨 등 반도체 원자재 美 수출 금지2024.12.03
- 中, 美 공세 맞대응…"美 반도체 안 사고 다른 국가와 협력"2024.12.04
- 美, 반도체 장비 中 수출 또 규제…HBM도 포함2024.12.02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당장 흑연 수출을 통제한다는 발표를 한 것은 아니다"며 "상황을 예의주시하며 대응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