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 의료기기社, 충북 오송에 외과수술 교육센터 지은 이유

[김양균의 메드테크] 메드트로닉 로봇센터, 자체 로봇 솔루션 연계 공개 눈길

헬스케어입력 :2024/12/03 16:55    수정: 2024/12/04 14:26

메디컬 테크놀로지(Medical Tech)란 질병 예방·진단·치료를 위한 의료기기 관련 산업을 의미하는 말이다. ‘김양균의 메드테크’는 기존 정의를 넘어 디지털 헬스케어 등 신의료 기술을 도입하거나 창업 등에 도전한 의료인 및 의료기관의 스토리를 소개한다. [편집자 주]

글로벌 의료기기 제조사인 메드트로닉이 충청북도에 로봇 수술 연구·교육 센터(이하 로봇센터)를 설립했다. 국내 의료진의 로봇수술 술기 향상에 기여한다는 것이 대외적 이유지만, 500억여 원을 투입한 진짜 속내는 자사 로봇 수술 시스템의 국내 병·의원 확산이라는 유추는 어렵지 않다.

로봇센터의 시작은 지난 2013년 설립된 메드트로닉 이노베이션 센터(MIC 센터)다. 이곳을 최근 확장, 2차 개관을 한 것이 로봇센터다. 

사진=메드트로닉코리아

4일 오후 충북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내 로봇센터에서 개관을 기념해 언론과 만난 유승록 메드트로닉코리아 대표는 “센터는 연간 3천500명의 국내외 보건의료인이 찾는 의료 술기 산실로 자리 잡았다”라며 “의료기술개발과 환자 사용 등 전 과정에서 술기 중요성을 이해, 이를 뒷받침할 생태계를 조성해 왔다”라고 말했다.

이어 “센터는 (로봇을 활용한) 개복·복강경 수술 등 임상 현장에서 요구되는 술기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이뤄지는 유일한 인프라”라며 이번 개관에 대해 “로봇 수술 저변 확대와 환자 맞춤형 수술에 대한 연구가 가능한 최적의 환경이 마련됐다”라고 자평했다.

라짓 카말 메드트로닉 로봇사업부 총괄사장도 “한국의 외과 기술은 국제적인 수준이며, 로봇 수술 시장도 전도유망하다”라며 “센터는 외과의와 기업의 대표적인 협업 사례가 될 것”이라고 부연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곳에 대해 “의료혁신 기술의 장을 열게 됐다”라며 맞장구를 쳤다. 오창현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은 “로봇 기반 첨단 의료 술기의 종합 연구 기반 마련을 통해 국내 보건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면서 “정부도 의료기기 분야에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추켜세웠다. 오 과장은 메드트로닉에 “한국의 파트너가 되길 바란다”라고까지 했다.

최보윤 국민의힘 의원도 영상 축사를 “더 많은 기업이 참여해 한국 첨단 의료 기술 생태계 촉진을 소망한다”라고 추켜세웠다.

이우용 대한외과학회장 겸 세계대장항문학회장(삼성서울병원 교수)은 “우리나라 외과계 전반의 실력은 세계 최고 수준이고, 이 과정에서 메드트로닉코리아의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라며 “MIC 센터는 그러한 회사의 노력에 대한 상징적인 건축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가기관이 아닌 외국계 사기업이 500억 원을 들여 시설을 짓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라며 “메드트로닉코리아가 대한민국 의료 발전 동반자로 계속 이바지해달라”고 말했다.

이처럼 정부, 의료계, 기업조차 나서 침을 튀기며 칭찬하는 로봇센터는 도대체 무엇을 하는 곳이고, 왜 메드트로닉은 이곳에 수백억 원을 쏟아붓고 있는 걸까?

‘휴고’

MIC 센터는 우리나라를 포함해 6개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시설이다. 국내 센터는 6천300제곱미터(1천900평) 면적에 870평 규모의 2층 건물이다. 센터는 총 4개의 랩으로 이뤄진 로봇 수술 연구·교육 센터, 11개의 수술실에서 교육이 가능한 외과 수술 실습실, 방사선 장비와 네비게이션 장비가 있는 복합 수술 실습실, 응급처치와 호흡기 처치 교육 장비가 있는 시뮬레이션 실습실 등으로 구성돼 있다.

(왼쪽부터)메드트로닉코리아 유승록 대표이사, 메드트로닉 로봇사업부 라짓 카말 총괄사장

특히 실시간 수술 중계(Live surgery)와 실습(hands-on)에 특화돼 있다. 이번 2차 개관을 통해 강화된 부분은 아시아 술기 교육 허브 기능이다. 현재 디지털 관련 교육 프로그램도 준비 중이다. 김경민 센터장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여러 틀을 활용한 교육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센터에서 교육받는 국내 보건의료인은 연간 3천400여 명으로, 누적 3만 3천 여명이 이곳을 다녀갔다. 센터에서는 연평균 250여 건의 외과적 술기에 대한 교육이 이뤄진다. 대한외과학회와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 등을 비롯해 15개의 의료계 학술단체가 이곳에서 소속 전문의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회사가 지금까지 쏟아부은 돈은 515억가량이다.

앞선 질문으로 돌아가면 회사가 센터를 통한 기대효과가 무엇일지 궁금했다. 김경민 센터장은 “기업으로써 이윤을 쫓기보다는 당사 플랫폼 및 센터에서 교육을 통해 의료진의 술기 향상이란 센터의 기본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다”라고 대답했다.

그럼에도 센터 개관과 맞물려 처음 공개된 ‘휴고 로봇 보조 수술 시스템(Hugo RAS, 이하 휴고)’은 메드트로닉의 의료진에 알리고 싶은 핵심 기대효과라고 보는 것이 현실적일 것이다.

휴고는 모듈형 및 휴대형으로 설계된 로봇 수술기기다. 의료진은 여러 위치에서 1개~4개의 로봇 팔로 환자 수술을 시행할 수 있다. 현재 의료기관 도입을 준비 중인 장비로, 비급여 제품인 만큼 향후 일선 의료 현장에서 어느 정도의 환자 부담이 책정될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관련해 이날 회사가 초대한 한 의료계 학회 이사장은 “새로운 기술이 쏟아지는 상호아에서 누가 수술하고, 어디서 수술하느냐에 따라 (로봇 수술)가격이 달라져야 한다”라며 “최고의 (치료) 결과를 위해서는 비용 적용 문제가 핵심”이라며 로봇 수술에 대한 급여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드러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