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이웃 행성인 금성에 한때 생명체가 존재했다는 이론에 찬물을 끼얹는 연구결과가 공개됐다고 우주과학매체 스페이스닷컴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금성은 종종 지구의 ‘사악한 쌍둥이’라고 불린다. 지금 금성은 뜨거운 지옥 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나, 오래 전엔 우리 지구와 비슷한 환경을 지녔을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 연구진이 그 동안의 추정을 뒤집는 연구 결과를 내놨다. 연구진은 금성 대기의 화학적 구성을 조사한 결과 너무 건조해 과거에도 바다가 존재했을 가능성이 적다고 주장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3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 천문학(Nature Astronomy)에 게재됐다.
연구진은 금성이 태양과의 거리, 질량 등 지구와 비슷한 부분이 많으나 지구와 쌍둥이가 아니었을 뿐 아니라 처음부터 지옥 같은 행성이었고 밝혔다.
케임브리지대학 천문학 연구소 박사 과정이자 해당 연구진을 이끈 테레자 콘스탄티누는 "금성은 지구와 가장 가까운 행성이지만, 지구와 매우 다르게 진화한 행성을 탐사할 수 있는 독특한 기회를 제공하기 때문에 외계 행성 과학에 중요하다"고 말했다.
현재 금성의 표면 온도는 섭씨 500도로 납을 녹일 수 있을 만큼 뜨겁고 황산 구름까지 있다. 이런 극한의 조건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금성이 수십억 년 전에는 생명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이었을 것이라고 추정해왔다.
금성이 지난 46억 년 동안 어떻게 진화했는지에 대한 두 가지 이론이 있다. 하나는 금성이 과거한때 액체 물을 보유할 만큼 충분히 차가웠다는 것이다. 원래 금성이 차가웠으나 화산 활동으로 인한 온실효과의 급격한 증가로 점점 더 뜨거워져서 더 이상 액체 상태의 물을 담을 수 없게 바뀌었다는 설명이다.
또 다른 이론은 금성이 처음부터 뜨겁게 태어났기 때문에 액체 물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주장이다. 이번 연구팀의 연구 결과는 이를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은 "두 이론 모두 기후 모델에 기반으로 하지만, 우리는 금성의 현재 대기 화학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하는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싶었다"며, "금성 대기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해서는 대기에서 분해되는 화학 물질들이 다시 복원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연구진은 금성 대기에서 물, 이산화탄소, 황화카르보닐이 얼마나 빨리 파괴되는지, 화산 활동을 통해 분해된 물질들이 얼마나 빨리 복원되는 지를 살펴봤다. 화산 활동이 대기에 가스를 공급하기 때문에 마그마가 표면으로 올라오면서 분출되는 가스에서 금성 내부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지구의 화산 폭발은 물이 풍부한 지구 내부 때문에 대부분 수증기를 내뿜는다. 반면, 연구팀은 금성의 화산 가스에는 수증기가 6%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진들은 이런 건조한 대기 상태는 표면에 바다를 형성할 만큼 충분한 물이 존재할 수 없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 "‘지구 쌍둥이’ 금성에 지금도 용암 흐른다" [우주로 간다]2024.05.28
- 금성이 물 잃고 지옥 행성이 된 이유는 [우주로 간다]2024.05.08
- NASA가 선정한 담대한 우주 개척 아이디어들2024.01.05
- 가까이서 본 수성…베피콜롬보, 5번째 근접비행 [우주로 간다]2024.12.03
테레자 콘스탄티누는 "금성이 생명체를 유지할 수 있는지 또는 실제로 생명을 유지했는지는 탐사선을 보내기 전까지는 확실히 알 수 없다"며, "하지만 금성은 바다가 없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구와 같은 생명체를 유지했을 것이라고 상상하기 어렵다. 지구와 같은 생명체는 액체 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미국 항공우주국은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2029년 6월 ‘금성 심층 대기 조사’(DAVINCI) 임무를 가동한다. 이 탐사선은 2년 후인 2031년 금성에 도착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