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에 따라 이동한 곳은 버스 내부에 설치된 뇌파 및 맥박 검사실. 외부와 밀폐된 이 반 평가량의 공간에서는 전문간호사,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등 정신건강전문요원이 뇌파와 맥박을 활용한 스트레스 지수 측정과 상담이 이뤄졌다.
생년월일과 연락처 등 간단한 개인정보를 입력한 후 검사가 시작됐다. 플라스틱 재질에 센서가 달린 뇌파 검사기는 흡사 머리띠 같아 보였다. 이를 이마에 부착하고, 함께 연결된 맥박 탐지기를 귀에 부착하면 측정을 위한 이제 모든 준비가 끝난 것이다. 눈을 감고 천천히 숨을 쉬었다. 60, 59, 58, 57….
“검사 끝났습니다.”
지난 26일 오전 세종시. 보건복지부 청사에 버스 한 대가 들어왔다. 국립공주병원 내 충청권 트라우마센터가 운영 중인 마음건강버스였다. 이날의 ‘이벤트’는 복지부가 마련한 것으로, 기자는 심박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이하 HRV) 검사를 체험할 수 있었다.
해당 검사는 맥박이나 자율신경의 균형을 통해 스트레스의 정도와 신체 조절 능력을 측정하는 검사법으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자율신경계가 항상성을 잘 조절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검사는 심박 변화를 통해 스트레스에 대한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 반응을 통해 건강 상태를 측정하게 된다.
검사를 진행한 전혜양 국립공주병원 정신건강 사회복지사는 “스트레스에 과도하게 노출되면 신체에 대한 자율신경계 반응이 과각성될 수 있어서 이에 따른 문제 여부를 맥박으로 확인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했다.
검사 결과는 맥파 및 뇌파 결과서로 제공됐다. 결과지를 토대로 내담자의 상태에 대한 상담이 진행됐다. HRV 검사에서 기자의 상태는 자율신경계 균형 범위 안에 있었다. 매우건강-건강-양호-경고-위험 등 5단계의 결과에서 다행히 정상으로 분류됐다. 심장 건강도 ‘매우건강’으로 측정됐다. 매우낮음-낮음-적정-높음-매우높음으로 분류되는 스트레스 지수는 60 이상부터 ‘높음’, ‘매우높음’으로 분류됐다. 기자는 낮음과 적정 사이 상태로 나타났다.
반복적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의 피로 단계는 정상-관심-주의-경고-위험으로 표시되는데 기자는 정상 단계로, 자율신경계 측정 나이는 35세로 나왔다(기자는 사십 대이다). 신체 활력은 긴장-활력-보통-약간 무기력-무기력으로 결과가 나오는데, 기자는 활력 범위에 있었다.
뇌파 검사 결과서는 ▲두뇌 활동 ▲집중도 ▲뇌 스트레스 ▲균형 ▲집중도 등 항목으로 분석한 결과로 구성돼 있었다. 뇌파 검사 결과, 6가지 뇌파와 해당 상태는 ▲감마, 불안·흥분 ▲높은 베타, 긴장·스트레스 ▲중간 베타, 집중·몰입 ▲낮은 베타, 주변 인식 ▲알파, 안정 ▲세타, 수면 등의 상황에 우세한 등이다.
뇌 점수는 70점 이상일 때 스트레스 관리를 잘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기자는 58점으로 나와 컨디션 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으로 측정됐다. 두뇌 활동은 일반적으로 11.7Hz~19.5Hz 사이가 정상 범위이지만 기자의 경우, 29.7Hz로 ‘부하’ 상태였다. 뇌 스트레스 지수는 9.4로 매우 낮음-낮음-적정-높음-매우높음 등 5단계 중 ‘매우높음’으로 측정됐다. 집중도는 레벨 7의 ‘높음(집중형)’ 상태로 나왔다.
망연자실한 표정을 짓자 전혜양 사회복지사가 말했다.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지면 집중이 떨어지는데 이렇게 집중력이 높게 나온 것은 스트레스 상황이 높지만, 집중력으로 커버하는 상황이란 의미입니다. 스트레스 지수를 더 낮추는 게 업무 효율을 더 높일 수 있을 거예요. ‘내일 기사는 무엇을 쓸까’와 같이 당장 하지 않아도 되는 고민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죠.”
상담이 끝나면 일상에서 쉽게 이완할 수 있는 호흡법을 연습해 보는데, 모든 과정은 내담자의 상태에 따라 짧게는 십여 분에서 수 시간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재난 발생 시 심리지원 위해 최일선 투입
지난 2020년 12월 개정된 정신건강복지법에는 국가트라우마센터의 업무 지원을 위한 권역별 트라우마센터의 설치·운영 근거가 마련됐다. 2021년 6월 30일 법 시행에 맞춰 국립공주병원·국립나주병원·국립춘천병원에 각각 충청권·호남권·강원권 트라우마센터가 문을 열었다.
이로써 건국 5개 권역에서 ▲수도권 국가트라우마센터(국립정신건강센터) ▲호남권 트라우마센터(국립나주병원) ▲영남권 트라우마센터(국립부곡병원) ▲강원권 트라우마센터(국립춘천병원) ▲충청권 트라우마센터(국립공주병원) 등이 설치·운영 중에 있다. 이밖에도 시·도에서 운영 중인 마음안심버스는 45대, 총 50대가 전국에서 운용되고 있다.
권역별 트라우마센터의 역할은 재난이나 대규모 사고가 발생하면 현장에 개입해 재난 현장 위기 대응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위험군을 선별해 심층 상담과 재난 회복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마음안심버스는 평시 취약계층을 위한 ‘찾아가는 심리지원 서비스’의 역할을 맡다 일단 재난이 발생하면 현장에 투입돼 현장 심리지원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날 기자가 체험한 심리서비스도 국립공주병원 내 충청권트라우마센터에서 운용 중인 마음안심버스였다. 전혜양 사회복지사로부터 피해자 심리지원 당시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일단 재난 피해자나 자살 유가족은 집중력이 저하돼 있는 경우가 많아 멍한 상태가 자주 관찰됩니다. 수면 문제를 겪는 경우도 많아 세타(수면 시 우세) 뇌파와 불안과 흥분 시 우세한 뇌파인 감마 뇌파가 활성화돼 있죠.
화재 현장에서의 심리지원 당시의 일화다. 화마로 터전을 잃은 피해자는 엄청난 스트레스 상황에 놓여있었다.
“피해자들은 앞으로 생계에 대한 걱정과 상실 고통, 재난 상황에 대한 분노와 혐오, 휘몰아치는 감정 때문에 불안과 우울로 인해 가슴이 심하게 두근거린다고 호소했어요. 특히 본인이 겪은 피해를 묘사한 뉴스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연락을 받으면 더욱 강한 마음의 고통을 겪곤 하죠. 이 때문에 피해자에게서는 대인관계를 피하고자 집 밖에 나가지 않거나 하는 행동 패턴이 관찰되기도 합니다.”
관련기사
- [날씨가 미쳤다] 덴마크 정신병원이 눈꽃 모양인 이유2024.06.10
- [날씨가 미쳤다] 성공한 덴마크 기후정책 이면엔 쓰레기통 뒤지는 ‘네토피플’2024.05.20
- [날씨가 미쳤다] 코펜하겐 유적 불타자 도시 휩쓴 상실 잔해2024.05.13
- [날씨가 미쳤다] 글로벌 녹색전환 주도하고픈 덴마크 야심…우리는?2024.05.06
이 밖에도 화재 등 재난 현장에 투입되는 소방관이나 강력한 사고를 마주하는 경찰 인력에 대한 마음건강 지원도 국가트라우마센터 차원에서 제공되고 있다. 재난대응인력 소진관리프로그램을 통해서다.
기후변화에 따라 각종 재해 상황은 증가하고 있어 트라우마 관리와 마음안심버스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작 현장 인력의 고충은 적지 않다. 이날 현장에서 만난 트라우마센터 관계자는 “마음안심버스 인력의 고용안정성 등 처우 개선은 고민해야 할 부분”이라고 귀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