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로보택시 원격 운영팀 구축 중"

테슬라, 원격 운영 시스템 개발 구인 공고 올려

카테크입력 :2024/11/26 15:31

테슬라가 로보택시 원격 운영팀을 구축하고 있는 정황이 포착됐다고 IT매체 테크크런치가 2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테슬라가 최근 등록한 구인 공고에 따르면, 테슬라는 인간 운전자가 로보택시와 휴머노이드 로봇에 원격으로 접근해 제어할 수 있는 원격 운영 시스템 개발을 위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를 채용 중이다. 

테슬라가 공개한 로보택시 '사이버캡' 콘셉트 (출처-테슬라)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의 역할은 "맞춤형 원격 운영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을 주도하고, 설계 결정을 내리고 소프트웨어 통합을 구현한다"고 기술돼 있다. 

테크크런치는 테슬라가 기존 인력 활용이 아닌 추가 인력 채용하는 것에 대해 공공 도로에 로보택시를 배치하는 방안을 진지하게 고려하고 있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일론 머스크 최고경영자(CEO)는 테슬라가 인간 개입 없이 고급 신경망 훈련과 카메라 기반 인식을 통해 완전한 자율주행 기술을 개발할 수 있다고 강조해왔다.

자율 주행차 업계에서는 공공 도로에서 자율 주행차를 출시하기 위한 필수적인 구성 요소로 ‘원격 조종’(teleoperation)을 꼽고 있다. 

테슬라의 FSD (사진=테슬라)

이미 미국 도시에서 상업용 자율주행 승차 서비스를 운영하는 웨이모 등도 이미 공사 구역이나 사고 등 특정 케이스를 처리하기 위해 원격 조종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원격 조종 운영자가 내린 결정은 레벨4 자율주행차 운영을 위한 귀중한 훈련 데이터이기도 하다.

테슬라는 지난 달 로보택시 시제품을 공개했다. 로보택시 사이버캡은 스티어링 휠이나 페달 없는승객 두 명의 태울 수 있는 차량으로, 머스크는 테슬라가 2026년이나 2027년에 차량 생산을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일론 머스크는 내년 미국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서 사람들이 자율주행 테슬라를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라며, 이미 테슬라 직원들을 대상으로 베이 지역에서 이 서비스를 테스트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테슬라가 구축 중인 로보택시 원격 운영팀이 특수 목적의 로보택시만 지원할지, 아니면 오늘날 도로에서 일반인이 소유한 테슬라 차량도 지원할지는 불분명한 상태라고 해당 매체는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