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 가능한 전국 의료기관 9곳밖에 없어

대체인력 투입에도 특정 중증진료 격차 커

헬스케어입력 :2024/09/14 09:00

중증 응급질환으로 구분되는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 진료가 가능한 권역응급의료센터는 44개소 가운데 9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병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사망까지 이를 수 있는 중증 응급질환 27종 중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은 평시에도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개소 중 15개소에서만 진료가 가능했다.

11일 기준 중앙응급의료센터 응급실 종합상황판에는 ‘영유아 기관지 응급내시경’ 진료가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는 180개소 중 13곳, 중증 응급환자를 책임지는 권역응급의료센터는 44개소 중 9곳에서만 진료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5주 차까지 진료 가능한 권역응급의료센터 10개소를 유지했지만, 이달들어 한 자릿수로 줄어든 것.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없음. 서울 소재 한 대학병원 응급실의 모습. (사진=김양균 기자)

지난 4일 정부는 의료기관 5곳에 8차 공중보건의와 군의관 250명 중 15명을 우선 배정했다. 8일 나머지 대체인력을 파견하기 시작했다. 또 25일까지 ‘추석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을 운영하고 권역응급의료센터 전문의 진찰료를 평소의 3.5배로 인상키로 했다.

그럼에도 ▲영유아 응급질환 ▲중증화상 ▲사지접합 수술 등 특정 중증응급질환의 진료 격차가 여전히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11일 기준 ‘중증화상’ 질환은 권역·지역응급의료센터 180곳 중 38곳,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는 단 8곳에서만 진료가 가능했다. 손가락과 다리 절단 등 사지접합의 수술이 가능한 권역응급의료센터도 44곳 중 절반밖에 되지 않는다.

소 의원은 “의료대란 속에 아이들과 중증화상 환자들이 진료받을 수 있는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채 20%에도 미치지 못한다”라며 “정부는 현재 심각한 위기 상황에 대해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