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는 사람을 위한, 사람에 의한 비즈니스다. 지방 바이오는 ‘전문인력 양성’이 가장 급선무다. 대한민국 남부 바이오 헬스케어 허브 구축.
윤호열 전남바이오진흥원장의 페이스북에는 위의 글귀가 걸려있다. 대한민국 남부 바이오 헬스케어 거점이라는 수레, 전문 인력은 수레를 굴러가게 하는 바퀴이다. 기원전 수메르인들이 발명한 수레바퀴가 인류 문명사의 사건이었듯. 서울 중심을 벗어나 지방 바이오헬스 성장의 가능성은 오롯이 인적 인프라, 즉 사람에 달렸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산물인 수레바퀴는 나무판자 세 개를 연결해 만든 것이었다. 그저 뭉툭한 나무판자 세 조각이 인류 문명의 발전을 이끈 것이었지만, 다시 생각해보면 나무판자를 못으로 박아 연결하지 않았다면, 수레바퀴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지방이 바이오헬스케어 허브가 되기 위해서는 인력과 인프라, 이를 추진할 구심점이 연결되어야만 한다.
윤호열 원장이 하려는 건 바로 그 나무판자를 꿰는 것이다.
사람, 사람, 사람
-진흥원은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양성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사람의 이야기라 조심스럽지만 그 성과가 언제쯤 나올까요?
“진흥원 산하 생물의약연구센터는 지난 2014년부터 전국 바이오 관련 청년 미취업자들에게 9주 동안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이하 GMP) 제조와 품질기술인력양성 교육을 해오고 있습니다. 누적 240여명의 GMP 전문인력이 배출됐습니다. 이들의 평균 취업률을 86% 가량이나 되죠.
작년에는 생물의약연구센터가 조선대·전남대·목포대·순천대·동신대 등에서 온 바이오 교육생 250여 명에게 관련 이론과 GMP 실습교육 등도 진행했습니다. 4월 9개 기관으로 구성된 바이오인력 양성협의체와 전남·광주지역 7개 대학이 특화단지 인력 육성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는 자리를 갖기도 했습니다.
오는 2026년 진흥원을 중심으로 생물의약센터의 글로벌바이오 화순캠퍼스에서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정인력 양성과 국가백신안전기술센터 백신인증 허가·규제 교육, 미생물실증지원센터 미생물기반 백신전문인력 양성과정 등을 통해 매년 1천 명 이상이 배출될 겁니다.”
내년 시행 예정인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과 교육부 글로컬 대학 선정 시 전남의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은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관련해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목포대·동신대 글로컬대학30 지정되도록 끝까지 지원하겠다”며 의지를 밝혔다. 지난 4월 지역 내 9개 기관으로 구성된 바이오인력 양성협의체와 전남광주지역 7개 대학이 모여 특화단지 인력 육성방안을 위해 머리를 모으기도 했다.
참고로 전남바이오진흥원 산하에는 ▲식품산업연구센터 ▲생물의약연구센터 ▲나노바이오연구센터 ▲천연자원연구센터 ▲해양바이오연구센터 ▲친환경농생명연구센터 등 6개 센터가 있다.
-바이오헬스 전문인력 부족 문제는 갈수록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력 양성을 위한 투자는 더 확대 되어야 할 겁니다.
“그렇습니다. 저는 바이오가 사람을 위한, 사람에 의한 산업이라고 생각합니다. 바이오산업이 성공하려면 인력·자금·기술·글로벌 네트워크 등이 모두 중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핵심은 양질의 인력공급이죠.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헬스케어 산업이 급속도로 팽창하면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핵심 성장 동력으로 선정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맞아요. 글로벌 인재 확보 경쟁도 점차 심화될 겁니다.”
-바이오헬스 인력을 키워내기 위한 원장님만의 노하우는 무엇입니까.
“바이오헬스 인력은 ‘현장 생산 및 품질관리’, ‘연구개발’, ‘특수 분야’ 등 세 축으로 양성이 이뤄져야 합니다. 특수분야 인력으로는 사업 및 임상개발, 규제 인허가인력 등이 있고요.
우리나라는 GMP 현장인력 양성에 치중해왔습니다. 가시적인 성과도 있었죠. 앞으로는 연구개발 및 특수 분야의 인력을 더 키워내야 합니다. 궁극적으로는 글로벌 역량에 더해 현장과 실무경험이 두루 갖춰진 멀티형 인재 개발이 이뤄져야 합니다. 이러한 인력의 양성은 생산인력과 비교해 더 오래 걸릴 겁니다. 그러니 장기적인 안목으로 육성을 해야 하지요.”
-그렇지만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기관이 주로 수도권에 몰려 있습니다.
“네. 바이오는 대표적인 지식집약형 비즈니스입니다. 개개인의 역량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크게 달라지죠. 때문에 산학연병의 협력은 가히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능이 가능한 곳은 바이오특성화 대학원이죠. 문제는 이런 대학원이 수도권에 편중돼 있다는 점입니다. 지방 분산이 시급합니다.”
관련기사
- 백신·바이오 특구 지정 화순, 전남바이오진흥원 숨은 노력 빛나2024.08.20
- LG전자, 4개 사업본부 대수술...고객 지향 솔루션 체제로2024.11.21
- "피부 컨설팅 받고 VIP라운지 즐겨요"…체험 가득 '올리브영N 성수' 가보니2024.11.21
- "아태지역, K-콘텐츠가 이끈다"...디즈니, 내년 어떤 작품 선보이나2024.11.21
-바이오헬스 시장이 커지면 관련 종사 인력도 알아서 늘어나는 게 아니냐는 착각도 있습니다. 이러한 오해가 전문인력 양성에 걸림돌이 되는 것 같습니다.
“바이오 인력양성 규모는 다른 산업과 달리 착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령, 연 15% 바이오의약품 매출성장이 있다면, 매출이 없는 바이오텍 기업들의 인력 소요를 추가하고, 오리지날 의약품 대비 가격은 저렴하지만 생산량은 많은 바이오시밀러는 그 차이를 보정해줘야 합니다. 다시 말해 인력 양성 규모는 매출액 증가뿐만 아니라, 기업 수와 생산량 증가 등 3차원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겁니다.”(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