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체감 AI 혁신서비스 제공"···디플정, 3개 사업 착수

'통합테스트베드 운영' '데이터레이크 활용 지원' '애자일 및 API 혁신서비스 개발 지원' 통합 시작 보고회...'DPG AI테스트베드 원팀'도 발족

디지털경제입력 :2024/07/23 11:07    수정: 2024/07/23 13:29

정부가 국민이 체감하는 '디지털플랫폼정부 AI 혁신서비스'를 선보이기 위해 민관협력으로 개발에 착수했다. 원활한 사업 수행을 위해 23일 ‘DPG AI 테스트베드 원팀 발대식'도 개최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위원장 고진, 이하 ‘위원회’)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민간과 공공 협력을 바탕으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디지털플랫폼정부 혁신서비스 창출을 위한 'DPG 통합테스트베드 운영 사업'과 '데이터레이크 활용지원 사업' '애자일 및 API 혁신서비스 개발지원 사업'의 통합착수보고회를 23일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원장 황종성, 이하 ‘NIA’) 서울사무소(서울 무교동)에서 개최했다.

위원회와 과기정통부는 윤석열 정부 주요 국정과제인 디지털플랫폼정부(Digital Platform Government, DPG) 실현을 위해 NIA와 함께 2023년부터 DPG 혁신인프라 구축 사업을 수행 중인데,  특히 이번에 착수보고를 한 3개 사업은 내년 상반기 1단계 완료 예정인 DPG 최상위 통합플랫폼 ‘DPG허브’와 연계하는 핵심과제다. 'DPG허브'는 민간과 공공의 데이터 및 서비스를 안전하게 연결, 융합·활용할 수 있는 민간 클라우드 기반 통합플랫폼을 말한다. DPG의 핵심 시스템이다.

이번에 정부는 첫째, 올해 구축하는 ‘DPG 통합테스트베드’로 지난해 따로 구축한 ‘테스트베드’와 ‘데이터레이크’를 통합하고 고도화해 중소·벤처기업·스타트업, 시민개발자, 국가·공공기관 담당자들이 AI, 빅데이터, 제로트러스트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쉽고 자유롭게 데이터를 분석하고 혁신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기반 환경 마련을 지원한다.

'테스트베드'는 중소벤처, 개발자가 다양한 기술과 서비스의 시험, 검증, 배포를 지원하는 개발 및 테스트 환경을 말하고, '데이터레이크'는 비정형데이터(영상, 음향, 이미지 등), 국가공유데이터, 가명화한 민원데이터, 민간데이터 등을 축적해 초거대 AI학습 등에 활용하는 데이터 융합 인프라를 말한다.

Screenshot 2024-07-23 at 10

 이번 사업을 통해 정부는 국민 누구나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있으면 하나의 서비스로 실현할 수 있게 DPG 통합테스트베드가 가진 민간 클라우드 자원과 각종 SW 개발 도구, AI 모델 생성·학습 도구, 데이터 분석 도구 등을 제공한다.

기획 단계부터 데이터 학습·분석·모델링 및 서비스 개발·시험·검증까지 더욱 쉽게 AI 등 첨단기술을 적용한 DPG 통합테스트베드를 활용할 수 있게 심층 컨설팅, 개발·시험·검증지원, 교육·코칭 등 전문기술 지원도 함께 제공할 예정이다.

둘째, ‘데이터레이크 활용지원’은 민간 클라우드 기반의 ‘DPG 데이터레이크’를 활용해 분야별 데이터를 축적하고 가공·분석·AI 모델링 등을 통해 혁신서비스를 창출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우선 5개 분야(의료·복지, 국방·방산, 교통안전, 기반시설, 수출·중소기업)별 컨소시엄을 선정해 저출산 난임케어, 교통사고 예방, 중소기업 수출지원 등의 서비스를 개발 및 실증하고, 내년에는 분야를 확대할 예정이다. 5개 선정과제는 ▲경찰청 교통안전서비스 ▲군수물자 예측서비스 ▲AI기반 공동구 결로 예방서비스 ▲무역·투자GPT ▲저출생해결 난임케어서비스 등이다. (맨 아래에 이미지)

셋째, ‘애자일·API 혁신서비스 개발지원’은 애자일 개발방법론과 API기술을 도입해 공공의 혁신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과제에 선정한 4개 컨소시엄은 DPG 테스트베드 원팀 일원으로 국민이 만족할 AI 서비스를 내놓을 예정이다.

'애자일(Agile) 방법론'은 프로젝트를 여러 개의 작은 단위로 나눠 빠르게 개발하고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는 SW개발 방법론을 말하며,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와 시스템들이 상호 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인터페이스를 말한다. 이 분야 4개 선정과제는 ▲AI기반 규제정보 서비스 ▲지능형 상하수도행정서비스 ▲AI 복지민원 서비스(이상 애자일 3개 과제) ▲AI기반 문화향유 추천서비스(이상 API 1개 과제) 등이다.

이번 착수보고회에는 위원회 내 DPG허브 TF 위원 등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해 디지털플랫폼정부 기본원칙을 바탕으로 한 통합테스트베드 운영 방안과 이를 통한 국민체감형 혁신서비스 개발·실증 방향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교환했다. 또 착수보고회에 참석한 위원회, 과기정통부, NIA와 민간·공공의 수행사 및 클라우드·초거대AI 기업 관계자들은 ‘DPG AI 테스트베드 원팀 발대식’을 통해 정부와 민간이 한 팀이 돼 DPG 혁신인프라 관련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하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관련기사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이승현 플랫폼데이터혁신국장은 "이번 통합착수보고회는 민간·공공의 협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혁신서비스를 만들어 국민에게 선보이고 평가받는 여정의 중요한 출발점”이라며 “국민과 기업이 함께 참여하고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디지털플랫폼정부의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김경만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DPG 통합테스트베드의 안정적인 운영을 통해 기존 공공 주도로 이뤄진 서비스 개발과 제공을 넘어 민간 주도로 혁신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게 앞으로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