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AI 질서 만드는 국가가 AI 산업 이끈다"

국회 AI 포럼, 창립총회 및 기념 세미나 개최…AI 산업 진흥·정책 필요성 논의

컴퓨팅입력 :2024/06/26 17:03    수정: 2024/06/26 19:24

"인공지능(AI)을 안전하게 만드는 것은 중요하다. 현재 AI 안전성 중심으로 각국서 리더십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새로운 AI 질서를 만드는 국가가 AI 산업을 이끌 것이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혁신센터장은 26일 국회의원연구단체 '국회 AI 포럼'이 개최한 창립총회 및 기념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하정우 센터장은 최근 각국 정부가 AI 안전을 위해 새로운 투자를 활성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AI 시대 질서를 어느 국가가 만드느냐가 관건이다"며 "미국과 캐나다 등은 AI 안전연구소 중심으로 AI 질서를 세우는 중이다"고 강조했다. 각국이 AI 안전연구소를 통해 AI 안전성과 정책을 연구하고 있다는 의미다.

하정우 네이버클라우드 AI혁신센터장.

그는 이에 대한 예시로 올해 4월 나온 캐나다 정부 사례를 소개했다. 이 국가는 AI 안전 연구소 설립 운영에만 500억원을 투자한다고 발표했다. AI와 데이터 법안 실행을 통한 혁신 지원으로 50억원을 투자한다고 했다. 하 센터장은 "AI 안전연구소가 정책과 법을 만든 후, 이 법이 실효성 있게 현실에 적용되도록 투자하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이 외에 AI 학계와 산업계 활성화를 위해 총 2조4천억원 규모 투자를 진행키로 했다. 

한국 정부도 올해 5월 개최한 '서울 AI 정상회의'서 안전연구소 설립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당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안전한 AI 기술과 산업 활성화를 위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산하에 AI 안전연구소를 만들고 적극적인 투자를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 센터장은 "현재 이에 대한 정부의 투자와 지원이 기대된다"며 "글로벌 AI 질서를 이끌기 위한 핵심 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안전한 AI 키우려면 AI법 서둘러야"

오순영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AI데이터분과 위원장은 "글로벌 AI를 선도하기 위해선 입법은 필수"라고 재차 강조했다. 

오순영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AI데이터분과 위원장.

오순영 위원장은 "AI 정책 주도권을 잡는 자가 글로벌 AI를 선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은 이미 AI 위험 관리 프레임워크를 발표했고, 영국은 AI 신뢰 정책을 내놓은 바 있다"며 "이처럼 해외에선 AI 위험성 대처를 위한 표준을 정하기 시작했다"고 알렸다.

관련기사

국내 AI법이 여전히 국회에 잠들어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그는 "한국에 AI법이 없다는 사실이 불안하다"며 "자칫 도입 시기가 늦어지면 해외 빅테크에 주도권을 맡기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정책적 시기가 늦어지면 국내 기업과 개인은 AI 선택권을 잃을 수도 있다"며 "정부는 빠른 AI법 추진을 위한 노력을 다각적으로 기울여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