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전제품 수명·효과 극대화"…가전 관리 서비스 주목

커피머신·정수기 케어 서비스 활성화

홈&모바일입력 :2024/06/21 10:51

여름과 장마철이 다가오면서 위생 관리를 위한 가전제품 케어 서비스가 주목받고 있다. 소비자들은 가격이나 기능 외에도 제품 성능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는 '사후 관리 서비스' 제공 여부를 가전 구매 요소로 살피는 추세다.

가전업계는 양질의 사후 서비스를 제공해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자는 전략을 펴고 있다. 또 여름철 생활 오염과 제품의 노화로부터 소비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다양한 케어 서비스를 선보였다.

스위스 하이엔드 전자동 커피 머신 브랜드 유라는 '오피스 커피 특화 시스템(OCS)'을 통해 전문 바리스타의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업용 제품의 경우 기업 환경에 최적화된 커피 머신 제안과 유지·보수, 커피 원두 공급뿐만 아니라 바리스타 파견을 지원한다.

유라 상업용 커피 머신 X8 (사진=유라)

기업에 파견된 바리스타는 매일 아침 관능검사를 진행해 스페셜티 커피의 품질이 변하지 않도록 유지한다. 또 전용 케어 용품으로 커피 머신 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리해준다.

종합 가전기업 코웨이는 정수기 위생에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 조직인 토탈케어서비스센터를 신설했다. 코웨이 정수기 위생 강화 전문가(QM)가 렌탈 기간 동안 1회 무상으로 제품 내부와 외부 위생까지 관리하는 '정수기 토탈케어서비스'를 제공한다. 제품 내부에 물이 흐르는 유로관과 추출부 교체, 내외부 세척까지 해준다.

관련기사

LG전자는 제품을 더 오래 더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가전 케어 전문가가 관리해 주는 가전 구독 케어서비스를 마련했다. 식기세척기 케어서비스는 구독 계약 기간 동안 내·외부 클리닝과 통살균 세척, 수질 경도 측정, 연수 장치 점검 등을 돕는다.

가전업계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언제든 위생으로부터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후 관리 서비스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가전을 편하게 관리하려는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가 더욱 전문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