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성장엔진 아프리카와 협력 강화해 새로운 기회 모색해야"

한경협, ‘한-아프리카 신산업 협력분야와 과제’ 보고서 발표

디지털경제입력 :2024/06/04 11:00

높은 성장잠재력을 가진 ‘젊은 대륙’ 아프리카와 협력분야를 ▲소비재 제조업 ▲광물 및 에너지 ▲ICT스타트업 ▲그린 테크놀로지 등으로 넓히자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경제인협회은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를 계기로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 정재욱 교수에게 의뢰한 ‘한-아프리카 신산업 협력분야와 과제’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표=한경협)

보고서에 따르면, 한-아프리카 경제협력 강화를 위해서는 양 지역 간 맞춤형 통상협력 세분화와 對아프리카 투자·진출 지원 정책금융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젊은 대륙 아프리카, 성장률 세계 최고 수준…한국과 협력 아직 저조

최근 높은 성장률로 주목받고 있는 아프리카의 경쟁력은 젊은 인구, 풍부한 자원, 對미·EU 시장과 가까운 지리적 이점, 역내 자유무역 등에 있다. 

아프리카는 전기차 배터리 등의 친환경 산업의 핵심 원료로 꼽히는 리튬, 코발트 등의 핵심 자원 또한 풍부하다. 지리적으로는 유럽 및 중동과 맞닿아 있는 데다 미주 대륙, 인도 등과 해상교역이 가능한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다는 점도 아프리카가 가진 강점이다.

아프리카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요인은 지난 2019년 출범한 아프리카대륙자유무역지대(AfCFTA)이다. 아프리카 대륙을 하나의 거대한 시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발족된 AfCFTA에는 54개 아프리카 국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상호 무역정책을 통합하여 역내 교역을 활성화하고, 글로벌 교역에서 아프리카의 영향력을 높이는 기반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아프리카는 빠른 성장을 이루고 있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에 따르면 올해 기준 경제성장률 전망 상위 20개국 중 11개국이 아프리카 국가(니제르, 세네갈, 리비아등)에 해당했으며, fDi 마켓츠와 IMF가 발표한 2024년 주목할만한 해외투자 10대 유망국에도 3개 아프리카 국가가 이름을 올렸다.

(표=한경협)

아프리카의 높은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아프리카의 협력은 저조하다. 한국의 교역규모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은 1.3%(2023년, 무역협회)에 불과하고, 한국의 세계 직접투자 규모에서도 아프리카 비중은 0.5%(2023년, 수출입은행)에 그친다.

이는 아프리카가 지리적으로 멀고 낯선 시장인데다, 아프리카에 대한 인식이 과거 자원개발 및 인프라 위주에 그치거나 ODA(공적원조) 등의 개발 협력 대상으로 한정돼 있기 때문이다.

■ "한-阿 맞춤형 통상협력 강화투자·진출 기업 지원 정책금융 확대 필요"

보고서는 “한-아프리카 협력 강화를 위해서는 소비재 제조업, 광물‧에너지, ICT기반 스타트업, 그린 테크놀로지 등 현재 아프리카의 성장을 견인하는 유망 분야로의 진출이 확대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성공적인 협력 관계 구축 사례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번 2024 한-아프리카 정상회의와 같은 고위급 협의체가 더욱 활성화되고, 나아가 민간협력 확대로 이어질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서는 한-아프리카 협력 확대를 위해 맞춤형 통상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하면서, 아프리카와 같은 신흥지역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경제동반자협정(EPA)’을 예로 들었다. 경제·산업 발전 양상이 국가별, 지역별로 상이한 아프리카의 경우 각 지역 및 국가 현황과 수요에 맞는 맞춤형 무역 및 투자협정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최근 모로코, 탄자니아, 케냐 등과 경제동반자 협정 관련 논의를 추진하고 있다. 아프리카와의 협력강화를 위해서는 지역·국가별 특성을 반영한 세분화된 전략이 필요한 만큼, 단순 시장 개방이나 관세 철폐 등 일반적인 對아프리카 통상협력보다는 정부조달, 기술협력, 디지털무역 등 다양한 부문에서 협력 기회를 찾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보고서는 밝혔다.

관련기사

보고서는 또한 우리 기업들의 아프리카 투자 및 진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진출 기업을 위한 정책금융이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많은 아프리카 국가들의 경우 OECD 정책금융 지원가능 기준에 부합되지 않는 신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기업대출 및 정책금융 지원이 실질적으로 어려운 경우가 많다.

금융 지원 활성화를 위해서는 국제개발금융기관 및 다자개발은행의 재원을 활용하는 경험 축적과 함께, 향후 기업과 정책금융기관이 함께 국제개발금융기관(세계은행, AfDB 신탁기금 등)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협력 모델을 개발해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