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車 반도체 국산 비율 높여라"…전방위 맞불 뒀다

중국-美·EU 대립…"장기적으로 한국에 부정적"

디지털경제입력 :2024/05/27 16:11    수정: 2024/05/27 17:05

중국이 미국과 유럽연합(EU)의 자국산 전기차 견제에 맞불로 대응하고 나섰다. 중국 정부는 최근 자동차와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핵심소재 반덤핑 관세 조사에 돌입하고, 차량용 반도체 자국산 비율을 높이라는 지시를 내리는 등 전방위적인 보복에 나섰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중국 상무부는 최근 미국, EU, 대만, 일본에서 수입한 폴리옥시메틸렌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들어갔다. 조사 기간은 지난해 1월부터 12월말까지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폴리옥시메틸렌은 가전제품과 자동차 산업에 널리 사용되는 열가소성 물질"이라고 보도했다.

또 중국산업정보기술부는 자국 자동차 기업인 상하이자동차, 비야디(BYD), 동펑자동차 등에 차량용 반도체를 자국산으로 조달하라는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중국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률이 10%에 못 미치지만 이를 20~25%로 높이려는 목적이다.

샤오미 첫기차 SU-7 (사진=지디넷코리아)

이는 중국이 최근 미국과 EU의 전기차, 태양광 등 견제에 적극 대응하겠다는 의지로 분석된다. 하지만 중국이 현재 무역 흑자를 기록하는 만큼 강력 대응은 어려울 것이라고 업계는 내다봤다.

FT는 "중국이 미국과 유럽에 맞대응할 것을 시사하지만 이번 조사가 협소한 것은 미국과 EU에 얻는 막대한 무역 흑자 때문에 대응 능력의 한계를 보인다"고 지적했다.

최근 미국과 EU의 대중 전기차 견제는 국가 보조금을 기반으로 성장한 중국 전기차 기업의 저가 전기차가 세계 시장으로 쏟아져 시장을 파괴할 것이라는 우려에서 비롯됐다. 이에 미국은 중국 전기차에 대한 수입 관세를 기존의 4배인 100%를 과세하기로 했고 영국은 50%대로 상향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수출 대기 중인 비야디(BYD) 전기차

이같은 국가 간의 견제에 기업들은 반발에 나섰다. 반발 의견은 주로 중국과 미국, EU에 차량을 판매하고 있는 기업에서 나오고 있다.

독일 자동차 제조업체 메르세데스-벤츠와 BMW, 폭스바겐은 EU의 반덤핑 관세 조사에 반대 의견을 냈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무관세 찬성 등의 의견을 냈다. 중국 전기차 기업 니오도 최근 유럽 진출에 나서고 있는 상황에 EU의 결정을 비난했다.

세계 핵심 자동차 시장을 형성한 국가들의 싸움에 국내 기업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한국 기업으로서는 당장 시장 주도권 확보에 힘을 줄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부품사를 시작으로 위험이 가중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사진=현대자동차그룹)

특히 아직까지 중국과 미국, EU가 부품 원재료까지 확대하지 않았지만 중국의 경우 핵심 소재 조사에 들어갔고, 한국의 최대 우방국인 미국, EU, 대만, 일본이 대상인 만큼 중국의 겨냥을 피할 수 없다는 견해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보면 이러한 정치적 견제가 난무하는 것은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며 "특히 부품은 더 치명적인데 자동차 같은 경우는 중국산 부품을 굉장히 많이 쓰고 있고 전기차 충전기 같은 경우는 거의 100%에 가깝다. 결국 규정이 만들어질수록 유탄으로 돌아온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이어 "최근 분석에서 완성차는 이점이 있고 부품은 단점이라는 얘기가 나오는데 그건 허울 좋은 이야기일 뿐이고 자국 우선주의로 가는 상황에서 수출하는 입장은 고민이 커지는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는 이달 초 대중 관세 정책이 전기차 부품까지 확대될 경우 한국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차 산업에는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중국산 전기차 부품에 대한 관세를 20% 높이는 경우 한국의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 생산량은 4.1%까지 감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