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이 국가 차원에서 수년 간 공을 들여온 위성통신이 현실화 됐다. 지상의 기지국 장비 없이 인공위성과 스마트폰을 연결해 통화가 이뤄지는 방식이다.
미국의 이통사인 T모바일이 스타링크와 협업, 스마트폰에서 활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으로 위성통신 시범서비스를 선보인 적은 있으나 위성통화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폰의 출시와 관련 위성이 발사된 시스템이 갖춰진 것은 다른 차원이란 평가다.
중국의 위성통신 개발 의지는 지난 2008년 약 8만 명의 희생자를 발생시킨 쓰촨성 대지진에서 비롯됐다. 지표면이 뒤틀리면서 지상의 모든 통신 장비 인프라가 쓸모없게 됐고, 피해 복구에 어려움을 겪게 되자 위성통신을 고민하기 시작한 것이다.
이전에도 위성통신은 존재했지만, 누구나 사용하는 휴대폰에서 위성통신을 통한 음성통화를 가능케 한 점이 주목할 부분이다.
애플이 북미 지역에서 긴급메시지 정도만을 보낼 수 있는 위성통신 기능을 선보였지만, 음성통화를 지원하는 중국의 티옌통 프로젝트와는 수준이 다르다.
티옌통 프로젝트에 쓰인 위성은 스타링크나 아마존, 원웹이 쏘아올리는 저궤도위성(LEO) 방식이 아니라 정지궤도위성(GSO) 방식이다.
티옌통 위성 1호는 지난 2016년 발사됐다. 이후 2020년과 2021년에 2, 3호 위성이 쏘아올렸다. 이들 위성은 고도 3만6천 킬로미터 상공에서 중국을 중심으로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커버리지로 두고 있다.
통신 용도의 티옌통 인공위성이 발사된 이후 중국의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최근 이 프로젝트의 기술 규격을 지원하는 스마트폰을 연이어 출시하면서 베일에 가려진 중국의 위성통신이 알려지게 됐다.
관련기사
- [MWC] 6G 시대 도래...위성통신 존재감 커졌다2024.02.26
- 갤S24엔 없는 데…中 위성통신 폰 쏟아진다2024.01.30
- 인텔리안테크, 저궤도위성통신용 평판 안테나 상용화2023.10.17
- "내 폰으로 위성통신 접속"…스타링크, ‘다이렉트 투 셀’ 내년 출시2023.10.13
위성통신의 쓰임이 흔히 알려지며 간단한 기술로 보이지만 전용 단말기가 아닌 스마트폰 크기에서 위성통신 연결을 구현하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우선 티옌통 프로젝트를 통해 주파수 상호변조 간섭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보인다. 미국과 중국의 보호 무역주의에 따른 기술 장벽이 높아졌는데 자국 기업과 자체 기술을 통해 위성통신 모델을 만들어내면서 서방의 기술 특허 제재에서도 자유롭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