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로봇 업계가 새로운 기술 국면을 맞았다. ‘유압 로봇’의 상징으로 여겨지던 보스턴다이내믹스(BD)가 최근 전동화를 선언한 탓이다. 전동과 유압식 로봇은 서로 다른 장단점을 지녔다. 업계는 두 가지 방식을 두고 어떤 선택지가 미래 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길인지 고민에 빠졌다.
전동식 휴머노이드 로봇은 정밀한 작업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테슬라가 야심차게 선보인 ‘옵티머스’가 그 상징이다. 세밀한 감지 기술로 달걀을 집거나, 인간 보행과 가장 유사하게 균형을 잡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유압식 로봇은 사람이 가질 수 없는 폭발적인 힘을 낼 수 있다. 손가락 크기 유압 부품 가격이 수천만 원을 호가할 정도로 비싸고, 전동식만큼 정밀한 작업을 수행하기는 어렵다는 점이 한계로 꼽힌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군사용 목적으로 로봇 개발을 시작해 유압식의 ‘아틀라스’를 처음 선보였다. 미국 고등방위연구계획국(DARPA)이 자금을 지원한 아틀라스는 인간이 작업을 수행하기에 안전하지 않은 지역에서 수색이나 구조 임무를 담당하기 위해 개발됐다. 사람이 구현하기 힘든 백덤블링이나 파쿠르 동작, 춤 등을 자연스럽게 선보이며 대중의 관심을 받았다.
보스턴다이내믹스는 16일(현지시간) “아틀라스는 약 10년 간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차세대 로봇공학자들에게 영감을 주며 현장의 기술적 장벽을 뛰어넘었다”며 은퇴 소식을 전했고, 연이어 다음날 완전 전동식의 새로운 아틀라스를 선보였다.
그러면서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인 휴머노이드 로봇이 실험실, 공장, 우리의 삶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을지 지켜봐달라”고 새 출발을 암시했다.
국내에서 이 두 가지 기술을 모두 보유한 업체는 레인보우로보틱스(RB)가 유일하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보스턴다이내믹스와 상반되게 2009년 전동식 휴머노이드 로봇 ‘휴보2’를 먼저 개발했고, 뒤이어 유압 구동식 로봇 ‘라이트(LIGHT)’를 선보였다.
휴보2는 당초 복잡한 손가락 동작을 구현해 다양한 물체를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2015년 공개된 ‘DRC-휴보’는 주변 환경과 다양한 물체를 인식하고 자동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등장했다. DRC-휴보는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다리에 바퀴를 달아 주행이 가능하며, 머리에는 라이다 센서와 카메라를 장착해 주변 환경을 실시간으로 인식할 수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전동식 로봇 기술만으로는 부족하다고 판단했다. 내부 펌프와 밸브, 구동기와 같은 유암 시스템 기술을 자체 개발했고, 내부 누유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개선했다. 이렇게 탄생한 ‘라이트’는 전기 모터방식 휴보 시리즈와 비교해 관절의 힘이 세고 장시간 사용이 가능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보스턴다이내믹스와 달리 두 가지 기술을 모두 고도화하자는 전략이다. 유압식 로봇이 갖는 폭발적인 힘과 전동식 로봇의 정밀성을 함께 안고 간다는 '양수겸장'인 셈이다. 지난달 열린 ‘2024 스마트공장 자동화산업전(SFAW 2024)’에서 전동식의 이동형 양팔로봇 ‘RB-Y1’과 유압식인 ‘라이트’를 함께 전시한 것이 시사하는 바다.
로봇 업계는 두 휴머노이드 사이에서 기로에 서 있다.
관련기사
- 테슬라, 첨단 휴머노이드 로봇 특허 기술 공개2024.04.12
- 백덤블링하던 아틀라스 로봇, 11년 만에 은퇴한다2024.04.17
- 엔비디아, 휴머노이드 로봇용 AI 플랫폼 ‘그루트' 공개2024.03.19
- 메르세데스 벤츠도 공장에 휴머노이드 로봇 도입2024.03.16
한재권 한양대학교 로봇공학과 교수는 “유압 구동은 뛰어난 퍼포먼스를 보일 수 있을지 몰라도 대량 생산에는 적절하지는 않은 선택이었다”며 “전동 방식이 휴머노이드 로봇 보급화에는 좀 더 맞는 방식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데니스 홍 UCLA 교수는 “보스턴다이내믹스의 유압식 아틀라스 휴머노이드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다”며 “새로운 전기식 아틀라스를 기대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