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내 사망률 50%로 이어지는 심부전. 조기치료가 이뤄져야 중증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심장은 매일 10만 번 이상 박동하며 몸 전체 혈액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만약 심장이 제 기능을 못하면 여러 심혈관계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몸에 충분한 혈액을 전달하지 못해 생기는 심부전은 5년 생존율이 유방암과 대장암보다 낮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약 13만3천명이었던 심부전 환자는 2022년 16만6천명으로 5년 동안 약 25% 늘어났다. 심부전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유별율도 함께 증가한다. 국내 심부전 환자 유병률은 60대 미만에서 약 1%이지만, 80대 이상 연령대는 12.6%에 달한다.
심부전은 심장의 구조적·기능적 이상으로 상태가 나빠져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발병한다. 심근경색·고혈압 등 만성 질환과 기타 심장 질환으로 심장이 나빠지면 발생하기 때문에 심장 질환의 종착역으로도 불린다.
일단 심부전이 발생하면 장기에 혈액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손상이 발생하고 심장으로 들어오지 못한 혈액이 저류돼 발목과 다리에 부종이 생기게 된다. 악화되면 계단을 오를 때 숨이 차는 호흡곤란과 밤에 누워있을 때 숨이 차는 일도 있다.
심부전은 고혈압과 관상동맥 질환이 가장 큰 원인이다. 이와함께 판막질환·부정맥·심근증 등으로도 생길 수 있다. 최근에는 비만·대사증후군·당뇨가 만성 염증 상태를 일으키고 심근과 혈관을 손상시켜 심부전을 유발하는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이밖에도 별다른 질환이 없어도 노화로 심장 기능이 나빠지며 생기기도 한다.
중증 심부전 환자는 절반이 5년 내 사망하며 25%는 1년 이내, 10%는 한 달 안에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심부전 중증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낮아 병을 조기에 치료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대한심부전학회의 2020 심부전 인지도 조사결과에 따르면, “심부전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약 84%에 달했다. 하지만 실제 심부전이 어떤 병인지 자세히 알고 있다고 답한 사례는 51.7%에 불과했다. 또 중증도 관련, 응답자의 25%만이 위험도를 제대로 인지하고 있었다.
심부전은 진행성 질환으로 발견이 늦을수록 심장 기능이 나빠져 예후가 좋지 않다. 조기치료와 꾸준히 관리하면 일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관련기사
- [1분건강] 이유없는 통증·피로·소화불량·어지럼증…불안·분노 때문일수도2024.04.17
- [1분건강] 봄 나들이 늘자 염좌·고관절 골절 발생↑2024.04.12
- [1분건강] 피지컬100 보고 운동 시작했다면 꼭 읽으세요2024.04.11
- "트럼프 인수위, 전기차 보조금 폐지"…이차전지주 급락2024.11.15
심부전을 예방하려면 스트레스 관리 혈압조절 등 생활습관 관리가 필요하다. 운동은 심부전 위험을 크게 줄여주므로 일주일에 3회 이상 달리기·자전거·수영 등 유산소 운동을 해야 한다. 국물 섭취나 나트륨이 많은 빵, 국수는 섭취를 삼가야 한다.
에이치플러스 양지병원 순환기내과 최원호 전문의는 “발병 후 5년 내 사망률이 50%에 육박하는 심부전은 예후가 좋지 않고 중증도 인식도 낮아 주요 증상을 노화 현상이라 치부해 병을 키우는 환자가 많다”면서 “심부전 환자에게 흔히 동반되는 고혈압·당뇨병·심방세동·만성 신질환·만성 폐쇄성 폐질환·빈혈 치료도 병용돼야 하며 약물 투여 후 증상이 개선되고 초음파 검사에서도 좌심실 박출률이 좋아져도 약물 치료는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