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기업 16만4600개···90.3%가 소상공인

중기부, 2022년 기준 연간 실태조사 공표...장애인 종사자 17만5580명 달해

중기/스타트업입력 :2024/03/31 16:42

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수는 16만4660개(2020년 대비 42.8% 증가)로 이 중 90.3%(14만8723개)가 소상공인으로 나타났다. 또 장애인 기업의 전체 종사자 수는 54만4840명이며 이 중 장애인 종사자 수는 17만5581명(‘20년 대비 45.5%↑)으로 32.2%를 차지했다. 장애인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원은 '금융'이 74.7%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31일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 장관 오영주)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를 공표했다.

'장애인기업실태조사'는 그동안 2년 주기로 작성·공표해 왔는데, 장애인기업활동촉진법 개정으로(‘22.10.18.공포, ’23.10.19.시행) 올해부터는 매년 발표한다. 이번 조사는 통계청 기업통계등록부 자료와 기업생멸행정통계의 장애인기업 자료를 연계, 보다 정확한 모집단 정보를 확보, 신뢰도를 높였다고 중기부는 설명했다.

일반현황/2020년 대비 장애인 기업체 수 42.8% 증가: 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수는 16만4660개사다. 2020년 대비 42.8%↑늘었다. 전체 장애인기업 중 90.3%(14만8723개사)가 소상공인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기업 수는 2018년 9만5589개에서 2020년 처음으로 10만개가 넘어 11만5347개를 기록했고 2022년에는 16만4660개로 늘었다.

업종은 도매 및 소매업이 29.7%(48,891개사)로 가장 많고, 제조업 15.9%(26,104개사), 숙박 및 음식점업 15.1%(24,836개사)순이였다. 대표자 장애유형은 지체장애가 66.8%(11만8명)이고,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경증, 4~6급)가 81.3%(133,833명)로 조사됐다.

또 대표자 평균 연령은 61.3세로 60대가 37.1%(61,071명)로 가장 높았고, 성별은 남성이 78.3%(128,994명), 여성이 21.7%(35,666명)로 나타났다.

재무현황/2020년 대비 매출액, 영업이익 모두 증가: 2022년 기준 매출총액은 75조 1368억원(60.1%↑), 영업이익은 7조 6,212억원(80.0%↑)으로 2020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평균 매출액은 4억 5631만원, 평균 영업이익은 4628만원으로 나타났다.

기업 규모별 평균 매출액을 살펴보면, 소상공인 2억9천만원, 중소기업 20억8백만원으로 2020년 대비 소상공인은 증가(12.0%↑)했고 중소기업은 감소(10.5%↓)했다. 업종별 매출액은 제조업이 22조 2545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30%를 차지했고, 도매 및 소매업 21조원, 건설업 14조원 순으로 나타났다.

고용현황/전체 종사자 중 장애인 종사자 비율 32.2%:장애인 기업의 전체 종사자 수는 54만4840명(’20년 대비 35.5%↑)인데, 이 중 장애인 종사자 수는 17만5581명(‘20년 대비 45.5%↑)으로 전체 종사자의 32.2%를 차지했다. 평균 종사자 수는 3.3명(’20년 3.6명)이고, 이 중 장애인 종사자 수는 1.1명(‘20년 1.1명)으로 2020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

기업 규모별 장애인 종사자는 중소기업(13.5%, 2만3701명)보다 소상공인(86.5%, 15만1879명)이 훨씬 많았다. 업종별로 장애인 종사자 비율을 살펴보면, 도매 및 소매업 29.5%(51,846명, ‘20년 대비 0.3%p↑), 제조업 16.3%(28,636명, ‘20년 대비 2.3%p↓), 숙박 및 음식점업 14.2%(24,954명, ‘20년 대비 5.0%p↓) 순으로 나타났다.

경영활동/지속되는 고금리, 자금조달 애로사항 1위: 장애인기업의 경영활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자금조달(51.9%), 판로확보·마케팅(39.8%), 인력확보·관리(28.7%) 순으로 나타났고, 장애인기업의 2022년 자금사정은 2.14점으로 나쁨 수준(‘20년 2.01점)으로 조사됐다.

자금사정이 어려운 분야는 운전자금(77.3%)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이어 인건비(12.8%), 시설자금(3.4%) 순으로 나타났다.

정책활용/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 도움 정도 ‘높은 수준’: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에 대한 정책별 인지율은 창업지원이 89.1%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공공구매촉진(59.3%), 기술사업화 지원(47.8%), 수출역량 강화(45.4%)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에 대한 정책별 이용률 역시 창업지원 (24.5%), 공공구매촉진(10.4%), 기술사업화 지원(3.7%), 수출역량 강화(1.7%)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인기업 활동 지원정책의 정책별 도움 정도(5점 만점)는 기술사업화 지원이 4.5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공공구매 촉진(4.28점), 창업지원(4.27점), 수출역량 강화(4.09점) 순이였다.

희망정책/장애인기업이 가장 필요로 한 지원은‘금융 지원’: 장애인기업이 경영활동을 위해 가장 필요로 하는 지원은 금융지원제도(74.7%)가 가장 높았다. 이어 세제지원제도(49.0%), 판로지원제도(24.4%)이 뒤를 이었다.

관련기사

중기부 이대건 소상공인정책관은 "장애인기업실태조사는 장애인기업 현황을 파악하고, 장애인기업육성 기본정책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참고자료”라며 “2024년부터는 장애인기업실태조사가 매년 실시됨에 따라, 변화하는 경영환경을 반영한 적시성 있는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장애인기업 육성 정책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기부는 2022년 기준 장애인기업 실태조사부터는 '기업통계등록부' 자료를 기준으로 통계청의 '기업생멸행정통계'를 연계해 조사모집단을 작성함에 따라 표본설계 및 모수추정 방법이 변경됐으므로 과거 조사결과 비교 등 자료 활용에 유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