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시대 부족한 개발자, 에스넷은 어떻게 인재확보했나

치열해진 개발자 확보 경쟁, 비전과 성취감 중심 인력양성으로 돌파

컴퓨팅입력 :2024/03/07 16:07    수정: 2024/03/07 17:00

챗GPT 등 인공지능(AI) 열풍으로 전산업에 걸쳐 디지털전환(DX) 요구가 가파르게 상승 중이지만 이를 도입 및 운영하기 위한 개발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가 디지털인재 양성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실무에 즉시 투입 가능한 중견급 개발자를 육성하기 위해선 아직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

업계에 남은 있는 전문 인력도 더 나은 임금과 복지를 제공하는 소수 빅테크로 쏠리면서 나머지 기업들은 더욱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에스넷시스템은 자체적으로 육성한 개발 인력을 바탕으로 AI 기반 사업을 다각화한다. AI 도입을 고려하는 고객사의 요청에 맞춰 AI 기반의 인프라부터 솔루션, 서비스까지 한 번에 통합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렇게 개발 인력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어떻게 안정적인 개발 인프라를 사내에 구축했는지 에스넷시스템 인사팀 노성진 수석 부장을 만나 이야기를 들어봤다.

에스넷 인사팀장 노성진 부장

■ 더욱 치열해진 개발자 확보 경쟁, 자체 인력 양성으로 돌파

Q. 코로나19 시기에 비하면 개발자 경쟁 열풍이 한풀 꺾인 것 같은데 실제 업계 분위기는 어떤가요?

노성진 수석 부장: 확실히 예전에 비해 대규모 인력을 쓸어가거나 하는 분위기는 아닙니다. 이미 많은 기업이 정해진 예산안에서 개발 인력풀을 확보한 상황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그만큼 더욱 치밀하게 기업의 방향성에 따라 개인을 평가하고 인력을 충원하거나 정리하는 분위기입니다. 

오히려 이전에 비해 분위기는 더욱 차갑다고 할 수 있어요. 최근 해고와 고용이 반복되는 해외도 이와 같은 내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Q. 에스넷시스템은 현재 개발 인력을 어떻게 관리 운영하고 계신가요.

노성진 수석 부장: 저희는 개발자를 연구원(리서처)와 개발자(디벨로퍼) 두 가지로 분류해요. 연구원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발굴해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거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직군이라면 개발자는 이렇게 제안된 새로운 제품을 구현하거나 상용화된 솔루션들을 운영하거나 고객사의 요청에 따라 구축하는 직군이라고 할 수 있죠.

기존에 없던 새로운 제품을 만들어내는 연구원이 기업에서도 많이 요구하는 더욱 전문적인 인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은 이미 시장에서도 찾기도 어렵고, 잘 옮기려고 하지도 않아요.

만약 개발자를 데려오더라도 우리 같은 중견기업에서 그들이 요구하는 환경도 충분히 제공할 만한 인프라를 지원하기가 어렵습니다.

Q.  전문 연구원이 요구하는 인프라가 어느 정도 수준일까요?

노성진 수석 부장: AI 학습을 위한 대규모 하드웨어 인프라도 있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자신들과 비슷한 수준의 전문 개발자 조직을 요구하는 경우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들이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를 영위할 수 있을 만한 인력 풀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으면 시스템 자체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을 가능성이 크니까요.

그래서 방법을 달리한 거죠. 외부 인력에 의지하기 보다 자체 인력을 양성해서 그들이 연구원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에스넷시스템은 AI 및 클라우드 시스템을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운영, 관리하는 등 AI 서비스를 확대 중이다.

Q. 연구원으로 성장하기 위한 환경이라는 것이 어떤 것인지 소개 부탁드립니다.

노성진 수석 부장: 먼저, 개발자들을 위한 자체 연구소를 마련했습니다. 이곳에서 개발자들이 모여 솔루션들을 만들기도 하고, 고객사의 요청을 받아 새로운 제품을 연구하면서 스스로 역량을 쌓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하드웨어 중심 회사였던 만큼 개발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더불어 직원들이 이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는 행사나 이벤트도 적극 진행했습니다. 개발자 양성 과정을 수료하면 그에 따른 혜택을 제공하고 성취에 대한 기쁨을 느낄 수 있도록 유도했습니다.

사내 업무 전환도 제한을 없앴습니다. 기존에 네트워크 인프라를 하던 직원들이 최근 SW 관련 교육을 받고 상당수가 클라우드 서비스로 업무를 전환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네트워크에 대한 지식을 갖추고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다 보니 오히려 기존 개발자와도 다른 전문적인 차별성을 확보하게 됐죠.

Q. 이렇게 SW 인력 양성에 주력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노성진 수석 부장: 에스넷은 NI 전문 기업으로 하드웨어를 판매하는 사업이 핵심 수입원이었습니다. 하지만 시장이 바뀌면서 클라우드나 AI 등 SW의 중요성이 점점 커지는 것을 인식하게 됐습니다. 변화하는 시장에 생존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SW, 그중에서 AI 분야에 적극적인 투자를 하게 된 것이죠.

■ 비전과 성취감으로 개발자의 만족감 높여야

Q. 많은 기업에서 개발자 육성 과정 중 이직 등 잦은 이탈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노성진 수석 부장: 개인의 의사이기 때문에 저희가 막을 수 있는 부분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그들이 가고 싶어 하는 회사에 갈 수 있다는 비전을 제공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지 않나 싶습니다.

다만 에스넷에서 더 역량을 키울 수 있고 실현할 수 있다 등의 충분한 비전을 제시한다면 이탈율은 줄일 수 있다고 봅니다. 실제로 몇 년 전 VM웨어 관련 채용 연계 교육을 진행했는데 그때 입사한 직원들이 3년 이상 열심히 활동하고 있고 업무에도 높은 만족감을 보이고 있어요.

Q. 그럼 채용, 인재 양성 교육은 계속 진행하고 있나요?

노성진 수석 부장: 지금도 핵심 인력으로 양성하기 위해서 비용과 시간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교육을 마치고 입사한 직원들에게는 입사 지원금도 제공하고 입사 후에도 불편하지 않게 적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 체계를 마련했습니다.

Q. 많은 기업에서 개발자는 관리가 어렵다고 합니다. MZ세대 성향도 결합되면서 그런 관리의 어려움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노성진 수석 부장: 오히려 요즘 세대가 더 소통에 적극적이고 관심 표현하는 것 같아요. 개발문화의 변화에 따른 것이 아닌가 싶어요. 예전에는 자신이 맡은 업무를 무조건 정해진 시간내에 마쳐야 했지만 지금은 팀워크가 상당히 중요하잖아요. 그만큼 기업도 팀워크나 소통이 잘되고 예의 있는 사람을 우선시하기도 하고요.

그래서 근무 중이면 개발자들이 먼저 왜 커피 안 사주냐 이런 식으로 먼저 말을 걸어 주기도 하고요. 요즘 세대는 회식을 다들 꺼릴 것 같은데 오히려 간단하게 저녁 후 맥주 한잔하면서 속에 있는 얘기도 꺼내는 경우도 종종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를 거치면서 개발자 이탈이 상당히 늘어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원격근무 등이 늘어나면서 개발자들이 조직에 대한 소속감이 사라진 것이 크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에스넷의 AI 기반 에너지 최적화 서비스 'AI EMS' 화면(이미지=에스넷)

■ 소통으로 전사 직군간 오해나 불만 줄이는 것이 핵심

Q. 개발 직군을 관리하는 과정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무엇인가요.

노성진 수석 부장: 일반 직원이랑 똑같습니다. 동일한 직원으로 대하면서 그들이 본인의 직무에 몰입해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인사의 기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히려 특별한 대우는 장기적으로 역효과가 날 것이라고 봅니다. 직무 특성에 따른 업무 환경은 보장하고 일관성 있는 퀄리티를 위한 코드 매니지먼트나 성과 모니터링 등은 진행하고 있죠.

다만 중요하게 여기는 것인 소통입니다. 단순히 인사팀과 개발직군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디자이너, 엔지니어 등 전사 직원과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매개가 되려 하고 있죠.

에스넷 인사팀장 노성진 부장

Q. 부장님이 엔지니어 출신인 것도 소통을 중요하게 여기는 이유 중 하나일까요.

노성진 수석 부장: 그런 면도 없지 않아 있습니다. 요즘은 많이 줄었지만 예전에는 서로 의사 소통 방식이 다르다 보니 서로를 이해하지 못해 불만이 있거나 업무가 제대로 안 이뤄지기도 했거든요. 그래도 요즘은 이런 부분이 많이 사라진 것 같습니다.

Q. 올해 목표는 어떻게 설정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관련기사

노성진 수석 부장: 회사에서 AI를 주력사업으로 실시하는 만큼 우수 인력을 채용을 가장 우선으로 삼고 있으며, 사내 주니어 인력을 어떻게 전문 인재로 양성할 것인지에 많은 고민을 하고 있습니다.

개발자의 역할은 무에서 유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들이 본인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부터 다방면으로 최대한 지원하는 것 역시 우리의 역할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