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이차전지 투자 속도 조절 안해...中 LFP 협력 검토"

[인터배터리 2024]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총괄 "LFP 범용 생산은 사업성 확보 어려워"

디지털경제입력 :2024/03/06 13:48    수정: 2024/03/06 13:53

“이차전지 투자 속도는 전체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없다. 지속적으로 밀고 나가서 미래성장산업으로 가져가시겠다는 게 큰 방침이다. 아직 주문이 줄지 않고 있고, 현재 투자는 2~3년 뒤를 위한 투자다. 수주 물량을 토대로 투자하는 것이고, 리스크 투자는 하지 않고 있다.”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은 6일 배터리 산업 전시회 ‘인터배터리 2024’ 현장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지난해 전방 산업인 전기차 수요가 둔화되면서 이차전지 소재 산업도 미래 성장에 빨간불이 켜진 상황이다. 이 때문에 그 동안 이차전지 업계가 생산시설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왔으나, 당분간 속도 조절에 들어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김 총괄이 현재로선 투자 계획을 축소할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다.

김준형 포스코홀딩스 친환경미래소재총괄(오른쪽)(출처=공동취재팀)

전동화 전환이 지연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경쟁력에 강점이 있는 중국산 리튬인산철(LFP) 배터리가 각광을 받는 추세다. 그러나 김 총괄은 LFP 배터리 양극재 시장에 뛰어드는 것에 대해선 다소 회의적인 입장을 견지했다.

김준형 총괄은 “LFP 배터리가 원료 측면에서 삼원계 배터리보다 상당히 낮아 가격이 저렴하지만, 상대적으로 가공비도 싸다”며 “기업 입장에선 마진을 붙여 영업이익을 내야 하는데 마진을 붙이기 쉽지 않은 구조”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중국 등에서 신기술, 신제품이 지속 출시되고 있는 등 연구해야 할 종목이라고는 생각한다”며 “고객이 원한다면 사업 진행을 하겠지만, 범용품을 생산해 사업하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LFP 배터리 시장을 주도하는 중국 내 현지 기업과 협력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김 총괄은 “전통적으로 포스코 그룹과 좋은 관계를 맺어왔던 중국 기업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여러 업체와 고민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 기업과 협력할 경우,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제재를 피하기 위해 중국 기업 지분 25% 미만을 전제로 한 합작 법인 설립 가능성이 크다고도 덧붙였다. 기존 합작 법인에 대해서도 IRA를 의식한 지분 조정 논의가 진행 중이란 설명이다.

관련기사

SK온과의 양극재 공급 계약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김 총괄은 "포드와 SK온이 어떻게 가느냐의 문제"라며 "저희와는 조율을 다 끝냈지만 포드와 SK온 계약이 이뤄져야 저희 계약도 체결될 수 있다"고 했다.

김 총괄은 그간 포스코퓨처엠 대표로 근무하다 지난달 포스코홀딩스 총괄로 자리를 옮겼고, 유병옥 포스코퓨처엠 대표가 새로 선임됐다. 유병옥 대표에 대해선 “그 동안 같이 이사회에 들어와 있었기 때문에 너무 잘 안다”며 “포스코퓨처엠 회사 기조는 크게 바뀌지 않고 큰 그림은 계속 진행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