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병철·이건희 회장 기업가정신은?···도전과나눔 조찬 포럼 개최

반도체와 자동차 생산 배경과 역사 소개...이금룡 회장 "대기업과 유니콘 500곳이 삼각체재 이뤄 G5 국가 도약을"

디지털경제입력 :2024/02/14 17:35    수정: 2024/02/14 21:52

#1983년 2월 8일, 고 이병철 전 삼성 회장이 일본 도쿄에서 "반도체산업에 진출하겠다"고 선언했다. 2월 8일은 일본에 있는 한인유학생들이 1919년 이날 동경 한복판에서 조국독립을 선포한 날로 3.1운동의 도화선이 된 날이기도 하다. '도쿄 선언'을 계기로 삼성은 반도체 사업에 본격 드라이브를 걸어 한국에서 처음이자 세계 네 번째로 반도체를 생산했다. 1994년 9월에는 세계 처음으로 256메가D램을 개발했고 이후 지난 20여년간 세계메모리반도체 시장 1위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1974년, 당시 59세인 고 정주영 현대 회장은 대한민국 첫 자동차인 '포니(Pony)'를 생산하는 프로젝트에 착수했다. 후 현대는 자동차 황무지에서 2년만에 '포니'를 양산했다. '불가능한 속도'로 자동차 양산에 성공한 현대는 곧이어 수출에도 성공했다. 1976년 2월 19일 처음 국내 판매에 나선 '포니' 덕분에 대한민국은 아시아에서 일본에 이어 두 번째, 세계서는 16번째 자동차 생산국가가 됐다.

삼성과 현대 창업자 고 이병철, 정주영 회장의 기업가정신을 돌아보는 행사가 사단법인 도전과 나눔(이사장 이금룡) 주최로 14일 서울 역삼역 인근 GS타워 1층 아모리스홀에서 열렸다. 도전과나눔이 '제 61회 기업가정신 포럼'이란 이름으로 주최한 행사에는 이승한 전 삼성그룹 회장비서실 신경영추진팀장이 이병철, 이건희 회장의 기업가정신을, 이충구 전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장(부사장)이 정주영 회장의 기업가정신을 각각 들려줬다. 반도체와 자동차는 오늘날의 부강한 대한민국을 만든 일등공신이다. 동시에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이기도 하다.

1970년 삼성그룹 공채 11기로 들어간 이승한 전 홈플러스그룹 회장은 2013년 5월까지 14년간 홈플러스 수장으로 있으며 업계 12위였던 홈플러스를 2위에 올려놓은 바 있다. 드물게 이병철, 이건희 두 회장 모두를 지근거리에서 보필했다. 이날 이승한 회장은 이병철, 이건희 두 회장의 경영 리더십을 비교하며 어록도 함께 소개, 시선을 모았다.

이승한 N&P그룹 회장이 발표를 하고 있다.

 이병철(1910~1987), 이건희(1942~2020) 두 회장이 "한국경제를 만든 두 거인"이라면고 짚은 이승한 회장은 "한마디로 하면 이병철 회장은 사업보국을 꿈꾼 선구자, 이건희 회장은 사업부국을 꿈꾼 선지자"라고 해석했다. 1910년 천석꾼 아들로 태어난 이병철 회장은 1938년 삼성상회를 설립해 기업가 길로 들어섰고, 1942년 태어난 이건희 회장은 1966년 동양방송 이사로 사업에 참여해 1979년 35세에 삼성그룹 부회장이 됐다.

이병철 회장에 대해 이승한 회장은 늘 사업보국을 가슴에 품고 경영을 했다면서 "선구자적 혜안으로 생필품, 중화학, 서비스, 반도체 등으로 사업 영역을 넗혔으며, 국가와 국민이 꼭 필요로 하는 새로운 산업을 최초로 시작한 인물"이라고 소개했다. 이건희 회장은 사업부국을 꿈꾼 선지자로 "세상에서 제일 잘 하는, 사업부국을 만들어야겠다는 뜻을 가진 분"이라고 설명했다.

삼성의 반도체 역사도 소개했다. 반도체는 위험산업이 아니라 시간산업이라는 이병철 회장의 지론하에 삼성은 1974년 한국반도체 사원 모집에 이어 1975년 삼성반도체로 상호를 변경했고, 1983년 2월 도쿄선언에 이어 1984년 3월 6개월만에 반도체 공장을 완공했다. 이어 1984년 12월 64KD램을 개발했고 1994년 9월에는 256MD램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1998년 11월 반도체 부문을 삼성전자로 흡수, 산업융복합화를 꾀했다.

1983년 '도쿄 선언' 당시 이병철 회장은 "국가를 위한 나의 마지막 사업이자 미래 대들보가 될 사업이다. 반도체 1톤을 생산하면 그 부가가치는 13억원이다"며 반도체에 강한 애착을 보였다. 반도체산업을 성공시켜야만 한국의 첨단산업을 꽃 피울 수 있다고 확신한 그는 "증기기관 하나로 세계를 제패한 영국처럼 우리나라도 반도체로 세계 정상에 못 오르겠나?"는 비전을 제시했다.

하지만 당시 우리 정부와 일본은 삼성의 반도체 진출에 부정적이였다. 우리 정부는 불확실하고 국민경제에 악영향을 미치며 본업까지 어렵게 한다고 판단했었고, 일본기업가와 연구소는 삼성이 반도체를 할 수 없는 5가지 이유로 ▲작은 내수 시장 ▲취약한 관련 산업 ▲빈약한 기술 ▲부족한 사회인프라 ▲작은 규모의 삼성전자 역량을 내세웠다. "이런 부정 부위기에서 유일하게 찬성한 사람이 청와대 김재익 수석이였다"고 들려준 이승한 회장은 "그래서 반도체가 탄력을 받았고, 도쿄선언까지 나오게 됐다"고 공개했다.

제 61회 도전과나눔 기업가정신 포럼이 14일 GS타워에서 열렸다.

이병철 회장의 사업부국 이념을 계승한 이건희 회장은 1987년 45세 나이에 삼성그룹 회장에 취임하며 "1990년때까지 삼성을 세계적인 초일류 기업으로 성장시킬 것"이라는 포부를 제시했다. 창조적 파괴를 앞세운 이건희 회장 부임 이후 삼성은 1992년 세계D램 시장 1위, 1993년 세계 메모리반도체시장 1위, 1994년 세계 최초 D램 개발 등의 성과를 냈다. 하지만 세계 초일류 기업으로 가는 삼성의 여정이 마음에 들지 않던 이건희 회장은 49세이던 1993년 6월 13일 프랑크푸르트 선언을 하며 "마누라와 자식을 빼고 다 바꾸라"고 주문하며 삼성의 초일류 기업을 재촉했다.

이승한 회장은 두 회장의 차이도 소개했다. "이건희 회장은 메타포, 비유의 달인이다. 이병철 회장과 달리 "버리는 것도 경영"이라며 선택과 집중을 강조했다"고 설명했다. 이건희 회장은 문화예술 인프라에도 관심이 많아 리움 미술관과 로댕 갤러리 등을 세웠다.

두 회장의 경영 스타일 차이에 대해서는 "이병철 회장은 선승구전(先勝求戰)으로 철저한 준비를, 이건희 회장은 착안대국(着眼大局)으로 끊임없는 변화를 강조했다"고 해석했다. 삼성에 인재가 몰리는 이유는 ▲인재제일(人材第一) ▲용인물의(用人勿疑, 맡기면 끝까지 믿는다) ▲최고대우(最高待遇) 등 세가지를 꼽았다.

이병철 회장의 인재 어록도 소개했다. 이 회장은 "내인생의 80%는 인재를 모으고 교육하는데 시간을보냈다" "똑똑한 사람을 데려다 바보를 만들면 기업가가 아니다" "1년에 한두번 사업계획과 사업보고를 들을 뿐 나는 모든일을 사장에게 맡긴다" 등의 어록을 남겼다. 반면 이건희 회장은 "S급인재는 인건비를 아끼지 말고 사장이 삼고초려해 뽑아라" "21세기는 탁월한 천재 한명이 10만~20만 명 직원을 먹여살리는 시대다" 등의 말을 했다.

이승한 회장은 "나는 두 분에게서 통찰경영의 법도를 배웠다"면서 본인이 생각하는 기업가정신도 밝혔다. 사전적 의미는 재무 위험을 감수하고 이윤추구를 하는 비즈니스 활동이지만 이보다는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어떤 변화도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라는 해석에 무게를 두며 "경영은 훌륭한 집을 짓는 일련의 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승한 회장은 미래 기업가들이 배울 수 있는 6가지 메시지로 ▲미래변화를 찾아내고 철저히 준비하라 ▲변화중심의 초일류기업 비전과 목표를 세우라 ▲목표를 성취하는 이기는 전략을 구사하라 ▲사업부국을 바탕으로 행동방식을 내재화하라 ▲지구환경과 사회에 작은 도움을 베풀라 ▲자신만의 휴먼리더십을 함양하라 등을 제시했다.

또 표류하고 있습니까? 항해하고 있습니까? 물으며 "나아갈 목표 항구가 없으면 잔잔한 파도에도 표류하고, 나아갈 목표 항구가 있으면 태풍이 불고 큰 파도가 쳐도 항해한다"면서 나아갈 큰 목표를 강조하며 강연을 마쳤다.


이날 이승한 회장에 이어 강단에 오른 이충구 전 현대자동차 사장(한국자동차공학한림원 명예회장)은 '현대차&기업가 정신'을 주제로 발표, 현대의 자동차 역사와 정주영, 정몽구, 정의선 회장의 경영리더십을 설명했다.

이 전 사장은 "나는 자동차밖에 모른다"면서 선대 회장과 명예회장의 기업가정신보다 현대 자동차 이야기에 초점을 두겠다며 운을 뗐다. 현대자동차는 2023년 기준 세계자동차 판매량에서 730만대로 도요타(1065만대), 폭스바겐(880만대)에 이어 3위를 차지했다. 21개 차종이 최고 모델로 뽑히기도 했다.

이 전 사장은 현대차의 뿌리와 DNA에 대해 "현대차 다움=정주영 선대 회장님"이라고 짚으며 정주영 회장과 피터 드러커간 일화도 들려줬다. 드러커가 한국을 방문해 정주영 회장을 만난 적이 있는데 당시 정 회장을 "호기심 많은 탐험가인데 여기에 실전과 실천까지 겸비했다"고 평했다는 것이다. 이 전 사장 본인은 정주영 회장을 "질문의 귀재다. 질문을 통해 공감을 이끌어낸다. 또 혜안이 있고 이를 종횡무진으로 실현한다"고 평했다.

이충구 전 현대자동차 통합연구개발본부장(사장)이 발표하고 있다.

현대차 성장과정은 ▲독자모델 개발 ▲기술 자립 완성 ▲난관&위기 극복의 세 단계로 나눠 설명했다. 이어 "정주영 선대 회장은 고유모델을 하지 않으면 포드나 GM 브랜드의 판매 대리점에 불과하다. 로열티를 지불하고 수출은 불가능하다. 마음대로 수출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면서 "불가능한 속도로 자동차를 생산했다"고 당시를 회고했다.

관련기사

또 스텔라와 소나타가 현대차의 찐고유 모델이라면서 포니 프로젝트에서 시작한 8단계의 현대차 기술자립 역사를 설명하며 현대차 DNA로 ▲사람중심의 창업 실행 정신 ▲새로움에 대한 과감한 도전 정신 ▲소통과 공감에 기반한 창의성 ▲위기를 극복하는 긍정과 끈기를 꼽았다.

이금룡 사단과나눔 이사장은 행사 마무리 말에서 "이병철, 정주영 회장님은 사업보국, 이건희 정몽구 회장님은 사업 부국을 강조했다. 나는 사업풍국, 사업으로 대한민국을 풍요롭게 하는 걸 강조한다"면서 "삼성과 현대같은 대기업과 함께 유니콘기업 500곳이 삼각 체제를 이뤄 대한민국을 G5 국가로 만들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