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는 팔고 BYD는 사들인다…리스 전기차 '격변'

비싼 전기차는 부담…"유럽 BYD 현상 가속화될 듯"

카테크입력 :2024/02/08 15:05    수정: 2024/02/08 18:42

테슬라 성장의 주역이었던 렌터카 업체가 테슬라를 포함한 보유 전기차를 판매하는 반면 전세계 29개국에 자동차 리스 사업을 전개하는 기업은 BYD 전기차를 사들이고 있다. 전기차 시장이 둔화하는 상황에서도 가격경쟁력이 해법으로 자리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이 같은 상업용 전기차 리스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는 현대자동차·기아의 입장에서도 달가운 소식은 아니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해법으로 상업 리스 점유율 확대에 주력했기 때문이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비야디(BYD)는 세계 29개국에 운영되는 차량 리스 서비스 기업 아르발(ARVAL)과 유럽 사업 강화를 위한 협약을 지난 6일(현지시간) 체결했다.

중국 BYD와 아르발의 유럽 리스 전기차 공급 협약 (사진=아르발)

아르발은 글로벌 170만대가 넘는 리스 차량을 관리하는데, 유럽 전역에 친환경차 라인에 BYD 전기차를 추가할 계획이다. 이번 협력에는 BYD의 유럽 공략이 성공했다는 평이다.

BYD는 지난해 유럽의 주요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 19개국에 250개 이상 대리점을 구축했다. 아르발과 BYD는 이번 협력을 통해 전기차 리스 사업에 중요한 현지 서비스와 고객 경험 보장이 가장 큰 핵심이었다고 설명했다.

반면 미국의 대형 렌터카업체 허츠(Hertz)는 3년전 테슬라 전기차를 10만대 규모로 사들였지만 지난달 보유하고 있던 전기차 2만대를 매각하겠다고 밝혔다. 허츠가 전기차 매각에 나선 것은 전기차 수요 약화와 함께 운용 비용 부담 때문이다.

테슬라 모델Y

허츠는 폴스타의 전기차도 구매 중단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테슬라의 제품과 폴스타 제품은 BYD의 약 두배에 가깝다. 반면 BYD는 전기차 생산과 배터리 제조까지 모두 내재화했기 때문에 내연기관 차량에 가까운 가격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관련기사

가격 경쟁력이 전기차 시장의 화두에 오르면서 현대차·기아의 상업용 리스 전략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BYD는 미국 진출 계획은 없으나 아르발은 미국에서도 서비스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기아는 미국 시장에서 지난 4일 전기차 누적 판매량 1천500만대를 달성했는데, 이 같은 성과에는 IRA를 피하고자 택한 상업용 리스·렌터카 확대가 컸기 때문이다. 하지만 BYD 차량이 아르발을 통해 미국 시장까지 확대된다면 현대차·기아의 점유율 감소까지 이어질 수도 있다는 관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