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1분기 TV 판매량 10%대 감소 전망…OLED 라인업 강화"

[컨콜] "TV를 AI 홈 중심으로…고유 서비스로 수익 높일 것"

홈&모바일입력 :2024/01/31 13:48    수정: 2024/01/31 14:24

삼성전자 TV 판매량이 지난해 4분기 직전 분기 대비 약 10% 초반으로 증가했으나, 새해 1분기에는 10% 초중반 감소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삼성전자는 31일 2023년 4분기 컨퍼런스콜에서 "지난 4분기 TV 시장이 연말 성수기 영향으로 직전 분기 대비 수요가 성장했다"며 "다만 선진 시장 중심으로 소비 심리 위축이 지속되며 전년 동기 대비로는 감소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네오 QLED와 OLED 75인치 이상 대형 TV와 같은 고부가 제품군 중심으로 지역별 성수기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프리미엄 시장 리더십을 확대해왔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장 사장 (사진=삼성전자)

다만 전반적인 TV 시장 수요 정체와 경쟁 심화에 따른 제반 비용 증가로 전년·전분기대비 수익성은 소폭 감소했다고 삼성전자 측은 설명했다.

삼성전자 측은 "올해 1분기는 계절적 비수기 진입과 더불어 수요 감소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QLED, OLED 및 75인치 이상 대형과 같은 프리미엄 수요는 견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간 전망에 대해서는 "새해 글로벌 스포츠 이벤트 등에 따른 교체 수요 기반으로 시장 수요 감소세가 점진적으로 완화될 것"이라며 "차별화된 프리미엄 제품과 서비스 경험을 강화해 전략 제품 중심 판매 확대와 수익성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는 프리미엄과 라이프 스타일 중심 제품 혁신과 라인업 다변화를 통해 다양한 소비자 수요를 공략하면서도 차세대 인공지능(AI) 프로세서와 타이젠 OS를 바탕으로 일상 속 초연결 경험과 맞춤형 콘텐츠 서비스 혁신을 지속해 AI 스크린 시대를 선도한다는 방침이다.

CES 2024 삼성전자 부스에 전시된 140형 '마이크로 LED TV' (사진=지디넷코리아)

삼성전자는 이를 위해 ▲스마트싱스를 통한 초연결 경험 확대 ▲스마트 서비스 차별화를 통한 고객 경험 강화 ▲라이프스타일 스크린 제품 적극 활용 등 전략을 펼치고 있다.

관련기사

삼성전자 관계자는 "TV를 단순한 콘텐츠 시청 기기가 아니라 집 안의 모든 기기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제어하면서 전력 사용도 최적화해 주는 등 AI 홈의 중심으로 만들 계획"이라며 "당사 고유 서비스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사업 매출과 수익 증대로 연결되는 선순환 사업 구조를 지속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기존 네오 QLED 및 마이크로 LED 투트랙 프리미엄 전략에 대해서는 "OLED 라인업을 강화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넓히고, 저화질 콘텐츠의 경우에도 차세대 AI 프로세스 기반 업스케일링으로 최상의 시청 경험을 제공하는 등 스크린 본연의 화질, 음질 경험을 극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