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는 재난 발생과 심리지원의 앞 단계에 기후변화가 있으며, 기후변화는 자연재난 뿐만 아니라 사회재난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로 쓰여졌다. 기후변화-기후재난-심리지원의 단계를 기후변화-기후재난 혹은 재난-심리지원으로 분리해 바라보는 시각에 대해 김록호 전 세계보건기구(WHO) 과학부 표준국 국장은 “사안을 축소하는 부작용을 가져온다”고 지적했다. [편집자 주]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구축된 우리나라의 재난심리지원. 기후재난 등 점점 더 대형화되어 가는 재난과 피해 대상의 광범위화 등을 고려해 심리지원 방식이 지금보다 더 고도화되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국내에서는 여러 자연재난이 발생해 다수의 사상자를 발생시켰다. ▲1월 20일 화재 ▲3월 10일 충남공주 지진 ▲4월 11일 강릉 산불 (사망 1명·부상 15명) ▲4월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7월 집중호우 (사망 47명·부상 35명·실종 3명) ▲8월 폭염(사망 12명) 등이 대표적이다.
심민영 국립정신건강센터 국가트라우마센터장은 “과거 한파와 폭염 등 기후재난을 ‘너무 춥고, 덥다’고만 여겼던 것에서 2018년의 기록적인 한파와 폭염 피해는 이를 근본적으로 바꾼 계기가 됐다”라며 “매년 기후재난에 의한 수십 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는 자연재난을 국가에서 관리하는 재난의 대상으로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작년 8월 한 달 동안에만 20일간 폭염 특보가 발효됐다. 이는 산불 발생에 영향을 미쳤다. 봄과 가을 강수량이 감소하고 겨울 적설량도 줄면서 여름철 고온 지속 현상으로 건조한 환경이 만들어졌기 때문이었다. 비록 산불이나 감염병은 ‘사회재난’으로 분류되지만, 기후변화의 대표적인 현상으로 꼽힌다.
일단 자연재난이 발생하면 피해를 입은 사람들에 대해 국가 차원의 구호가 이뤄지게 된다. 재난심리지원도 국가 구호의 하나이다. 재난심리지원의 주무부처는 보건복지부와 행정안전부다. 복지부 주관 지원은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중심으로 260여 개 전국 정신건강복지센터가 맡는다. 행안부는 대한적십자사를 통해 지원을 실시한다.
특히 국가트라우마센터는 재난 발생 당일 현장에 투입돼 석 달간 ▲정보수집 ▲심리지원 안내 ▲심리상담 ▲고위험군 선별 및 연계 ▲심리지원 종결 및 사후 모니터링 등의 단계를 거쳐 재난심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심민영 센터장은 “3번~4번의 상담을 실시하면 재난 경험자의 60%~70%는 빠르게 회복세를 보여 안정 종료를 할 수 있지만 20%~30%는 거부하는 이들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재난심리지원은 3개월 동안 실시되고 종결된다”며 “이후 6개월, 12개월의 모니터링을 추가로 진행하게 된다”고 밝혔다.
올해로 10년을 맡는 국내 재난심리지원. 그런데 이 모델은 지난 2014년 4월 16일 발생한 세월호 참사 당시에 처음 구축됐다.
재난 심리 지원도, 체계도, 조직도 없던 시절
국내 재난 심리지원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의 정신건강 매뉴얼이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마련됐다고 입을 모은다. 심민영 국가트라우마센터장은 10년 전 세월호 침몰 당시가 아직 생생하다.
사고 이튿날인 2014년 4월 17일 관계부처와 지방자치단체, 관련 기관들이 한데 모였다. 당시만 해도 아무런 재난 심리 지원과 체계나 조직이 없던 시절이었다. 4월 19일 ‘통합심리지원단’이 구성됐다. 그러자 다수의 전문가 그룹의 봉사활동 참여 신청이 쇄도했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와 대한소아청소년정신의학회 소속 회원(전문의) 300여명이 자원봉사를 신청했고, 전국에서 2천여 명의 전문가 그룹이 함께하겠다며 자원봉사에 참여 의사를 밝혀왔습니다. 이들이 제각각 심리지원을 하면 안 되기 때문에 4월 20일부터 2천여 명의 자원봉사자에 대한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처음에는 지역 정신건강복지센터에 심리상담 공간을 마련해 유가족 상담을 하려고 했다. 그렇지만 방문자가 드물어 그해 4월 22일부터 심리지원 대응인력이 장례식장을 찾아가 유가족에 대한 심리지원을 실시하기 시작했다.
지역의 심리 지원은 경기도와 안산의 정신건강복지센터와 지역사회복지협의체가 맡았다. 유가족 심리지원은 국립정신병원 서울병원(현 국립정신건강센터)을 중심으로 국립춘천병원이 맡았다. 전체 심리 지원 총괄은 통합재난심리지원단이 맡는 방식이었다.
“대상자에 따라 업무 분장을 하고 전체적인 지원은 통합재난심리지원단이 맡는 모형은 이후 발생한 재난 심리지원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됐죠.”
실제로 ▲2015년 메르스 심리지원 ▲2016년 가습기살균제피해 정신건강지원 ▲2019년 강원산불 심리지원 ▲2019년 헝가리유람선 침몰 심리지원 ▲2020년 코로나19 심리지원 ▲2023년 10.29 참사 심리지원 등도 세월호 당시 구축된 심리지원모델이 적용됐다.
관련해 세월호 참사 당시 초기 연구를 소개한다. 사고 당일부터 진도심리지원단에 소속돼 활동했던 이주연 전남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현지 주민과 구조대원의 심리 상담을 맡았고, 그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를 실시했다.
연구에 따르면, 2014년 5월부터 한 달 동안 총 2천298명의 지역민 가운데 392명에게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 증상이 관찰됐다. 설문에 참여한 응답자 중 756명은 팽목항과 진도실내체육관에서의 자원봉사자들도 있었다. 이들 가운데 151명(20%)은 PTSD를 호소했다.
또 당시 지역민 중 남성(161명)보다 여성(201명)에게서 PTSD 증상이 더 많이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PTSD가 상대적으로 감정의 억제하려는 경향이 강한 남성에 비해 공감능력이 높은 여성에게서 더 잘 발병한다는 연구 결과는 세월호 참사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던 것이다.
이주연 교수는 당시 기자에게 ‘언제 닥칠지 모르는 재난이지만 정신건강 대비책 마련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의 바람은 상당부분 실제가 됐다. 현재 우리나라의 재난 심리지원은 많은 발전을 이뤘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 심민영 센터장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 [날씨가 미쳤다] 강진 피해 日노토 이재민, 고위험 정신건강 문제 우려2024.01.15
- [날씨가 미쳤다] 기후재난, 이재민·구호요원·목격자 정신건강 악영향2024.01.22
- "상생협의체 결론 나려면 쿠팡이츠 새 상생안 내놔야"2024.11.08
- 삼성전자, 가전 구독 사업 출시 임박…LG와 맞장2024.11.08
“지금까지는 당사자와 유가족 등 개인에 대한 심리지원에 좀 집중을 해왔다면 기후재난과 같은 대규모 재난 발생 시 우리사회 전체의 집단 트라우마(trauma) 회복 방안에 대해 좀 더 관심을 가지고 메시지를 내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있습니다.”
‘트라우마(Trauma)’란, 실제적이거나 위협적인 죽음, 심각한 질병, 자신이나 타인의 물리적 위협이 되는 사건을 경험하거나 목격한 이후 겪는 심리적 외상이다. 일생 동안 적어도 한 번 트라우마를 겪을 확률은 50%를 상회하며, 가까운 사람의 죽음까지 포함한다면 80%가 넘는다. 우리사회 전체의 트라우마와 그 관리. 그것은 10.29 이태원 참사란 사회재난 이후 급물살을 탔다.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