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을 넘어 인공지능(AI) 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한국이 성공적으로 AI 전환에 성공하려면 '보안(Security)-안전(Safety)-신뢰(Trust)'를 구축해야 합니다."
임종인 대통령 사이버 특별보좌관은 26일 지디넷코리아와 인터뷰에서 "이제 사이버 안보를 넘어 인간을 위한 안전, 안보, 신뢰 기반을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은 생성AI를 비롯해 디지털 자산, 블록체인, 메타버스, 웹3 등 새로운 기술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면서 1월 2일 사이버 특별보좌관을 신설했다. 사이버 특보는 이번 정부에서 처음 만들어진 자리다.
임 특보는 사이버 보안 분야 국내 최고 전문가다. 임 특보는 고려대 수학과를 졸업한 뒤 동 대학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지난 2001년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장에 임명된 뒤 2010년 정보보호학회장을 거쳤다. 대검찰청 사이버수사 자문위원장, 국가정보원 사이버보안 자문위원 등으로도 활동했으며 박근혜 정부 청와대에서 안보특보를 지냈다.
임 특보는 올해 최대 과제로 '사이버 복원력(Resilience)' 확보를 꼽았다. 올해는 한국 총선과 미국 대선 등 글로벌 선거가 줄줄이 예정됐다.
임 특보는 "딥페이크와 가짜뉴스에 대응하는 현실적인 방법이 부족하다"면서 "생성AI를 악용해 만든 가짜뉴스 등이 확대되면 유권자 신뢰가 무너진다"고 말했다. 실제로 2016년 미국 대선에 러시아가 여론 조작 등의 방식으로 개입했다는 의혹이 높았다.
선거 및 투표와 관련된 IT시스템의 복원력 확보도 주문했다.
임 특보는 "지난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날 사이버 공격이 발생했고 순식간에 조직위 정보서비스 대부분이 중단됐다"면서 "당시 올림픽 침해사고대응팀(CERT)는 즉시 응급 피해 복구체계를 가동했고 12시간 안에 모든 시스템을 정상화했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선거 시스템은 물론이고 민간기관 역시 사이버 복원력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는 힘을 키워야 한다는 것. 지난해 민원24 장애 등에서도 IT시스템 복원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임 특보 "사이버 공격이 다변화하고 진화하면서 완벽히 차단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면서 "일시적으로 회복하는데 그치치 않고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탐지, 대응, 회복, 적응이 모두 포함된다"고 말했다.
임 특보는 사이버 안보 뿐만 아니라 산업 진흥과 규제와 관련한 컨트롤 타워 역할도 강조했다.
그는 "미국 빅테크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이나 퀀텀컴퓨팅 기술을 선점해고 있는 시대에 우리 기업들이 뒤쳐지지 않기 위해 나아갈 방향을 고민한다"면서 "AI반도체 등 기존에 우리가 강점을 가진 분야를 접목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