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에 지는 꽃은 없다’는 공무원 출신 시인으로 유명한 김병수 시인의 두 번째 시집이다. 하지만 이 시집을 찬찬히 읽다보면 ‘공무원 출신'이란 수식어가 쓸데 없는 말이라는 생각이 든다. ‘공무원 출신'에 눈길을 돌리다보면, 시인의 농익은 솜씨를 놓칠 것 같아서다.
표제작인 '세상에 지는 꽃은 없다'는 시를 한번 살펴보자.
시인은 "동백은 지지 않는다”는 과감한 서술로 이 시를 시작한다. 이어지는 연에선 “벚꽃은 지지 않는다”고 진술한다. 동백과 벚꽃은 각각 겨울과 봄을 대표하는 꽃들이다.
시인의 눈에 동백은 “겨울을 떨치는 외로운 투신”이며, 벚꽃은 “새 봄 외치는 척후의 나팔”이다. 동백이나 벚꽃은 언뜻 보기엔 바람과 같은 외부의 힘에 의해 몰락하는 것 같다. 하지만 시인이 보기엔 꽃들은 마음이 꺾이거나 좌절하지 않는다.
독자들이 이런 깨달음에 다다를 즈음, 시인은 이렇게 단언한다.
“꽃 진다 말하지 마라./세상에 지는 꽃은 없다/ 죽어 다시 피어나는 몸부림이/ 진정 꽃이다.”
시인은 짧은 시구를 통해 자신의 욕망과 집착을 벗어나 운명을 받아들이는 것이야말로 자신의 온전한 본성을 실현하는 삶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시인의 문명비판과 사회비판, 그리고 세속적 인간의 속물적 삶에 대한 비판이 궁극적으로 향하는 지점이 여기에 있을 것이다.
‘세상에 지는 꽃은 없다’에는 이처럼 짧은 잠언과 핵심을 찌르는 경구로 개인과 사회의 부조리한 국면을 드러내는 시들이 빼곡하게 담겨 있다. 시인은 군더더기 없는 생략과 비약, 그리고 인간의 생리와 사회의 속성을 파고드는 통찰력을 유감 없이 발휘하면서 깊은 울림과 감동을 이끌어내고 있다.
많은 평론가들이 지적한 것처럼, 김병수 시인의 가장 큰 강점은 풍자와 비판이다. 서정성 짙은 감성적인 시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주된 시적 무기는 개인과 사회에 대한 뛰어난 통찰력을 기반으로 한 시인 특유의 풍자와 위트다.
그리고 시인의 날카로운 비판 칼날이 주로 향하는 곳은 '개인적 차원의 어리석음’과 ‘사회적 부조리’다. 물론 이런 비판이 독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것은 개인과 사회에 대한 시인의 깊은 통찰 덕분이다.
탄소가 아니다/ 문제는 욕망의 온난화다/ 허나 밥상머리 훈육은 죽었고/ 수능서 쫓겨 난지도 오래/ 나는 오늘도 TV 자율학습을 나선다.// 채널의 강마다 사이렌이다/ 미어터지는 군침/ 눈동자 잡아 빼는 물욕/ 허영의 알코올 허기에/ 은밀한 색정의 도발을 견뎌내야 한다.// 학습은 인내만이 아니다/ 종강은 아홉시 뉴스/ 유혹을 못 이겨 얼굴에 똥칠하는/ 검찰청 포토라인/ 현장중계 생방을 목도해야한다.// TV는 바보상자가 아니다/ 판도라의 시대/ 패가망신을 떨치고/ 용케나마 가여운 팔자 부지케 하는/ 지상 최고의 학교다.
-‘TV는 바보상자가 아니다’ 전문
김병수 시인은 행정고시 30회 출신으로 정보통신부, 지식경제부, 국무총리실에서 30년 근무했다. 2020년 계간 ‘계간문예’로 등단하였고, 현재 Passion · Open · Strategy · Try를 핵심가치로 하는 ‘라이브 POST 경영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김병수 지음/ 지혜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