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 생성형 AI '한컴 어시스턴트' 내년 출시

AI 적용 제품군 줄줄이 소개..."경량화 언어모델 개발 중"

컴퓨팅입력 :2023/11/28 15:36    수정: 2023/11/28 17:17

"한글과컴퓨터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을 문서 도구에 본격 적용할 방침입니다. AI와 자사 솔루션을 통합해 지능 자동화를 이룰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지능형 문서 작성 도구 '한컴 어시스턴트(가칭)’ 시작으로 생성형 AI 제품군을 지속적으로 출시할 방침입니다."

한글과컴퓨터 정지환 최고기술책임자(CTO)는 28일 여의도 페어몬트 엠버서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생성형 AI 제품 개발 전략을 발표하며 이같이 알렸다. 

정지환 CTO는 문서 작성 도우미 한컴 어시스턴트를 비롯한 자사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 업데이트 버전, 한컴독스 AI를 소개했다. 

한글과컴퓨터 정지환 최고기술책임자(CTO)가 한컴 어시스턴트를 비롯한 자사 제품군을 소개하고 있다.

자체적으로 개발 중인 경량화 언어모델 소식도 전했다.

'K-코파일럿' 한컴 어시스턴트, 내년 상반기 공개

한컴 어시스턴트는 생성형 AI 문서 작성 도우미다. 문서 작성 엔진과 거대언어모델(LLM)로 작동한다. 사용자가 자연어로 명령만 하면, 한컴 어시스턴트는 이를 LLM을 통해 이해하고 의도를 분석한다. 그 후 답변을 생성한다. 현재 오픈AI의 GPT,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 등 범용 LLM을 연동해 테스트 중이다.

정지환 CTO는 "해당 솔루션은 스크립트 엔진으로 문서를 생성한다"며 "단순히 LLM을 연동하는 타사 서비스보다 수준 높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컴 어시스턴트 시연 장면.

LLM으로만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스크립트 엔진을 통해 사용자 의도까지 파악해 답변한다는 의미다. 그는 "전 세계 기업 중 한컴과 마이크로소프트만 스크립트 엔진을 보유했다"며 "내년 상반기 베타 출시를 목표로 뒀다"고 설명했다.

정 CTO는 한컴 어시스턴트가 마이크로소프트의 생성형 AI 비서 '코파일럿'과 유사하다는 입장이다. 그는 한컴 어시스턴트가 국내 고객 맞춤형 AI 비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정지환 CTO은 마이크로소프트의 코파일럿보다 뛰어난 한컴 어시스턴트 특장점을 설명했다. 국내 고객 니즈를 더 깊게 이해, 파악한다는 점이다. 그는 "고객사와 적극적으로 협력함으로써 한컴 어시스턴트를 맞춤형으로 구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코파일럿과 다르다"고 강조했다. 해당 솔루션은 한컴 내 다양한 제품에서 AI 문서 작성 도우미 역할을 맡을 계획도 알렸다.

한컴 SDK에 AI 기술 넣었다

정지환 CTO는 자사 SDK 기술 현황을 공유했다. 가장 큰 특징은 한컴 SDK에 AI 기술을 접목해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점이다.

한컴은 자사 SDK에 AI 기술을 접목해 기능을 업그레이드했다.

그는 한컴 SDK와 AI 기술을 결합한 솔루션을 소개했다. 출시를 앞둔 제품이다. 정 CTO는 문서 기반 질의응답 시스템 '도큐먼트 QA(가칭)'을 공개했다. 약 30년 축적한 한컴 문서 데이터에 기반한 질의응답 시스템이다. 

정지환 CTO는 "도큐먼트 QA는 고객 문서 정보 기반으로 질의응답 한다"며 "환각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설명했다. 기업 및 고객 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 목적 최적화, 정량화된 레벨 운용으로 고객 부담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의미다. 정 CTO는 "AI 기업 포티투마루와 긴밀히 협력해 만든 솔루션이다"며 "기업·기관 구축형 솔루션으로 제공된다"고 설명했다.

정지환 CTO는 한컴독스 AI 베타 테스터의 높은 평가를 강조했다.

그는 '한컴독스 AI' 개발 상황도 알렸다. 이달 27일 베타 테스트를 마쳤다. 정지환 CTO 설명에 따르면, 베타 테스터 약 84%가 한컴독스 AI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솔루션 구매 의사도 적극적으로 내비쳤다. 내년 상반기 최종 제품 출시를 기업소비자간거래(B2C)용으로 계획하고 있다. 향후 도메인별로 기능 요구사항을 취합해 특화 서비스도 내놓을 방침이다.

"경량화 언어모델 자체 개발 중"

한컴은 자체적으로 경량화 언어모델을 개발 중인 소식도 알렸다. 제품 내 모든 기능을 한컴 기술로 통합하기 위해서다. 이를 위해 AI 스타트업 포티투마루와 협력 중이다.

정지환 CTO는 "모든 한컴 서비스가 자사 솔루션 안에서 이뤄지는 것을 목표로 뒀다"며 "고객이 도메인 안에서 안전하게 한컴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 경량화 언어모델 연구는 시작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