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속도로 전면통제 원인이 '고양이'?

생활입력 :2023/11/19 08:55

온라인이슈팀

경북 한 고속도로 구간이 일시적으로 통제됐다.

원인은 고양이 한 마리로 경찰이 '트래픽 브레이크'를 활용한 사례다.

17일 경북경찰 공식 페이스북에는 '고양이, 니가 왜 거기서 나와? 고양이 구출작전'이라는 글이 올라왔다.

경북의 한 고속도로 구간에서 '트래픽 브레이크'가 작동됐다. 경북경찰 페이스북 갈무리

이날 경북 경찰은 지난달 군위 고속도로 중앙분리대에 '고양이가 앉아 있다'는 신고를 접수 받고 고속도로 부근을 수색하게 됐다고 말했다.

당시 고양이는 군위고속도로 22㎞ 지점에서 발견됐다. 고속도로순찰대는 고양이를 구조하기 위해 다가갔지만, 고양이가 중앙분리대의 반대편 방향으로 뛰어 내리는 위험한 상황이 발생했다고 한다.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는 긴박한 상황에서 고속도로순찰대가 트래픽 브레이크를 이용해 도로 양방향을 전면 통제한 뒤 안전하게 고양이를 구조했다고 전했다.

트래픽 브레이크는 2차 사고를 막기 위해 긴급차량이 지그재그로 차선을 옮겨 가며 주행해 의도적으로 후속 차량의 속도를 낮추는 방식을 말한다.

경찰차가 차선을 옮겨가며 지그재그로 서행하며 다른 차량들이 서행하도록 한다.한국에는 지난 2016년 12월에 도입된 제도다. 경찰차 등이 사이렌을 울리고 서행하며 정체를 유발하면, 차량은 지시에 따라 서행해야 한다. 이때 경찰차를 추월 또는 지시를 위반하면 신호 위반과 동일시 적용해 승용차 기준 범칙금 6만 원과 벌점 15점을 부과 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공식적으로는 2016년 12월 23일부터 도입되어 시해되어 왔다.

관련기사

경찰은 "소방과의 신속한 대처로 선제적으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제공=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