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금패턴 ㄱ, ㄴ, N 했다간 돈 털리기 쉽상...전화 훔쳐 4500만원 꿀꺽

생활입력 :2023/11/09 07:57

온라인이슈팀

대부분의 사람들이 귀찮다고,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휴대폰 잠금패턴을 아주 쉽게 설정한다.

'ㄱ' 'ㄴ'이나 알파벳 'N' 등이 대표적이다. 조금 복잡해봤자 'Z' 정도다.

휴대폰 잠금패턴을 귀찮다는 이유로 'ㄱ' 등 단순화했다가는 분실시 큰 낭패를 볼 수 있다. © 뉴스1

만약 휴대폰을 분실했을 경우 이를 습득하거나 훔친 이는 3~4번의 시도만으로 휴대폰을 연 뒤 각종 개인정보나 금융관련 정보를 취득하거나 돈을 빼내갈 수 있다.

실제로 이를 이용한 절도가 경남 진주에서 벌어졌다.

9일 경찰 등에 따르면 40대 남성 A씨는 진주지역 사우나 7곳에서 4500만원 상당의 현금과 휴대전화 등을 훔친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다.

A씨는 지난 9월 27일 진주의 한 사우나에서 고객 탈의실 옷장을 강제 개방 후 휴대전화 1대와 신용카드 등을 훔치는 등 지난 4일까지 진주지역 사우나 6개소에서 총 4500만원 상당을 훔쳤다.

목욕탕 옷장 절도로 옥살이를 하다가 지난 2월 출소한 A씨는 버릇을 고치지 못하고 미리 준비한 도구를 이용해 탈의실 옷장 문을 연 뒤 휴대전화와 지갑을 훔쳤다.

목욕탕을 빠져나온 A씨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전화 잠금 패턴을 'ㄱ' 'ㄴ', 'Z' 'N' 등 단순하게 구성한 것을 이용해 풀어냈다.

이어 카드사에 전화를 걸어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다'며 훔친 지갑에 있던 신분증으로 카드 주인인증을 받은 뒤 비밀번호를 초기화한 뒤 현금을 인출하거나 신용대출을 받았다.

관련기사

경찰은 "휴대폰 잠금 패턴은 쉽게 풀 수 없는 것으로 설정하고 휴대폰에 신분증과 카드를 같이 보관하는 일은 가급적 피해 줄 것"을 당부했다.

제공=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