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공개(IPO), 마음 단단히 먹어야 합니다. (준비 과정이) 상상을 초월합니다.”
“우리가 왜 상장 기업이 돼야 하는지, 근본적인 질문을 해보길 권장합니다.”
지난해 7월 기술특례상장으로 코스닥 시장에 입성한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 같은해 8월 유가증권시장에 발을 들인 모빌리티 플랫폼 쏘카. 스타트업에서 상장사로 거듭난 두 회사 수장들은 IPO를 어떤 의미로 받아들일까.
8일 서울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개막한 컴업2023에서는 정현경 뮤직카우 대표 사회로 ‘IPO 이후는 또 다른 세상이더라’ 퓨처 토크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서 박재욱 쏘카 대표와 백승욱 루닛 의장의 IPO 경험담이 소개됐다.
쏘카는 비교대상기업(피어그룹) 선정 시 국내외 모빌리티 플랫폼 기업을 적절하게 혼합했다고. 박재욱 대표는 단, 피어그룹 설정보다 회사 미래가치를 제시하는 데 무게를 뒀다. 박 대표는 “기업가치는 얼마큼 이익을 낼 수 있는지에 따라 결정된다”며 “내년, 내후년 이익이 성장곡선을 그릴 것이라는 전략을 제시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그는 “우리 비즈니스모델(BM)이 피어그룹 멀티플과 어디까지 맞닿았는지, 이용자를 기반으로 서비스 라인업을 확대하거나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지 등을 보여주기 위해 노력했다”며 “상장 1년이 지난 지금도, IPO 당시 전략을 이행하고 있다”고 했다.
쏘카가 상장 예열을 가했던 지난해 중순 썩 좋은 시장 상황이 아니었다고 박 대표는 부연했다. 그는 “불황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고, 상장사로서 다음 단계를 밟아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판단했다”면서 “IPO를 추진하는 것이 좀 더 옳은 선택이라고 믿고 강행했다”고 말했다.
이어 루닛 창업자인 백승욱 의장은 IPO가 내부 결속을 다지는 계기였다고 말했다. 백 의장은 “직원들 소속감이 늘어나고 자부심을 느끼는 게 눈에 띄었다”고 했다. 또 “우리 고객은 주로 큰 제약사와 병원 등 의료기관인데 상장사다 보니 사전에 알고 있거나, 지속 성장 가능한 기업으로 평가받는다”고 설명했다.
상장 후 느끼는 부담감을 토로하기도 했다. 백 의장은 “항시 IR 관련 일정이 잡혀있어, 여기에 상당 시간을 투자하는 편”이라며 “직원들이 사내 최신 소식과 정보에 대해 외부 투자자들과 동일하게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요구도 있다”고 말했다.
박 대표도 “3개월마다 공시(실적) 의무가 있어, 비상장사 때보다 업무가 네 배 늘어났다”며 “주가는 매일 움직이고 예측 불가능한 영역이라 처음엔 스트레스를 많이 받았다”고 했다. 이어 “이전에 접하지 못했던 투자자들과 시장 간 소통방법에 대해 배울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이영 중기부 장관 "K스타트업, 해외 열기 뜨거워…글로벌 허브 조성"2023.11.08
- 스타트업 축제 '컴업2023' 개막…"창업 생태계 교류의 장"2023.11.08
- 이영 중기부 장관 "컴업, 세계 대표 스타트업 축제로 키울 것"2023.10.30
- 코스포, 컴업 팀매칭 완료…피칭 레이스 돌입2023.08.03
IPO를 자금 조달을 위한 수단으로 여겨선 안 된다는 의견이 제기되기도 했다. 박 대표는 “상장 자체를 목표로 한 IPO는 최악으로, 창업가로서 피해야 할 가치관”이라며 “충분한 고민 없이 돈 때문에 IPO를 고려하는 건 경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백 의장은 “남들이 ‘먼저 했으니까, 우리도 따라가자’보다는, 자기중심을 갖고 (IPO 시기를) 살펴보는 게 정답”이라며 “나스닥까지 범위를 넓혀, 앞으로 많은 창업가가 도전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