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하유, AI로 논문 출처 표기법 검사한다

인용정보 누락·출처 표기 검사·편향성 확인 제공

컴퓨팅입력 :2023/11/07 08:55

무하유(대표 신동호)가 인공지능(AI) 표절검사 서비스 카피킬러에 출처검사 기능을 추가했다고 7일 밝혔다. 

출처검사 기능은 문서에 작성된 출처 표기법이 올바른지 확인한다. 기존 카피킬러는 문서 내용의 표절 여부만 확인했기 때문에, 본문 내 인용 표시를 했는지 확인할 수는 있었다. 그러나 해당 인용구에 대한 출처 검사는 불가능했다. 이번 출처검사 기능을 신규 도입하며 참고문헌·각주 등 내용 외 요소까지 검증할 수 있게 됐다.

신규 도입된 출처검사는 인용정보 누락, 출처 표기 오류, 최신성 검사, 편향성 검사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주석이나 인용구를 작성했는데 대응되는 참고문헌이 없거나, 반대로 참고문헌으로 작성한 내용이 주석 및 인용구에 없는 경우를 검출할 수 있다. 잘못된 출처 표기법을 사용했는지에 대한 검사도 가능하다.

카피킬러에 출처검사 기능 도입. (사진=무하유)

인용된 자료의 편향성도 검증할 수 있다. 출처 중 특정 저자나 매체가 차지하는 비율이 40% 이상일 경우 해당 문서의 편향성이 높다는 안내 메세지가 제공되는 식이다. 또한 너무 오래된 자료의 경우 최신 이론이나 해석과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논문 연구 방향이 잘못되는 것을 막고자 논문 발행 후 10년을 기준으로 최신성 검사도 진행된다.

관련기사

카피킬러는 과제물 작성자가 표절 행태를 경계할 수 있도록 길잡이 역할을 제공하는 AI 표절검사 서비스다. 내용 표절·출처 미표기·중복 게재 등 사람이 하나하나 파악하기 힘든 작업을 AI로 빠르게 검토할 수 있다. 자연어 이해 기반 AI가 문장 내 6 어절 이상 일치할 경우 표절로 처리한다. 표절률과 검사 결과지를 제공해 표절 의심 영역을 표시해 제공한다.

무하유 왕일 프로는 "새롭게 도입된 출처검사 기능이 사람의 육안으로 찾아내기 어려운 오류를 대신 찾아 보완점을 알려줌으로써 문서의 완벽성을 높여주는 도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