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은 왜 남성보다 적게 벌까"…노벨경제학상 수상

클로디아 골딘 하버드대 교수, 남녀 임금격차 연구 인정받아

금융입력 :2023/10/10 08:15    수정: 2023/10/10 14:09

올해 노벨경제학상은 남녀 간 임금 격차 원인을 연구한 미국 하버드대학교 클로디아 골딘 교수에게 돌아갔다.

9일(현지시간) 주요 외신 등은 스웨덴 왕립과학원이 골딘 교수의 연구를 통해 성별에 따른 임금 격차의 주요 동인을 밝혔다고 보도했다.

클로디아 골딘 교수는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 세 번째 여성이며, 독자적으로 상을 받은 최초 여성이다. 골딘 교수는 올해 77세로 하버드대학교에서 노동시장사를 가르치고 있다.

그는 미국 노동력에 대한 200년간의 데이터를 조사하면서 소득과 고용률의 성별 차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왜 변했는지를 연구했다. 스웨덴 왕립과학원은 "여성과 남성 간 임금 격차에 대한 이해를 발전시켰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골딘 교수 연구에 따르면 기혼 여성은 1800년대 산업화가 시작된 이후 일이 줄어들기 시작했지만 서비스 경제가 성장하면서 1900년대에 다시 고용이 증가했다.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아지고 피임약이 등장하면서 변화가 가속화됐지만 성별 임금격차는 여전히 남아 있다. 전 세계적으로 남성의 80%에 비해 여성의 약 50%가 노동 시장에 참여하고 있지만, 여성은 수입이 적고 경력 사다리의 최상위에 도달할 가능성도 낮다.

역사적으로 남성과 여성의 소득 차이는 어린 나이에 이루어진 교육 선택과 직업 선택에 기인할 수 있었지만, 골딘 교수는 현재의 소득 격차가 이제는 주로 자녀 출산의 영향 때문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