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코프로, 3000명 고용창출...포항시로부터 감사패

철강 도시 포항을 이차전지 도시로 탈바꿈시킨 주역 공로

디지털경제입력 :2023/09/20 16:56

에코프로는 포항 도시 변혁의 ‘앵커 역할’을 한 공로를 인정받아 포항시로부터 최근 감사패를 받았다고 20일 밝혔다.

권혁원 포항시 일자리경제국 국장은 "에코프로의 투자 확대로 포항시가 철강 도시에서 이차전지로 도시로 탈바꿈하고 있는 것은 지역경제 부활의 좋은 모델"이라며, "에코프로의 계획된 투자가 잘 집행될 수 있도록 시 차원에서 적극적인 협조를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에코프로는 지난 2016년부터 현재까지 포항 영일만산단에 약 1조 8천억원을 투자해 약 10만 평의 부지 위에 이차전지 원료, 전구체, 양극재, 리사이클링까지 밸류 체인을 갖춘 ‘에코배터리 포항캠퍼스’를 구축을 진행하고 있다.

좌측부터 이강덕 포항시 시장, 김병훈 에코프로머티리얼즈 대표, 백인규 포항시의회 의장.

에코프로는 여기에 약 6만 평을 추가해 2025년 초 완공을 목표로 포항4캠퍼스를 조성하고 있는데, 추가 투자비가 약 최소 1조1천억원임을 감안할 때 포항 영일만산단에만 총 2조9천억원 이상이 투자될 예정이다.

‘클로즈드 루프 에코 시스템(Closed Loop Eco-system)’으로 불리는 에코프로의 포항캠퍼스는 전구체 제조, 리튬 전환 공정, 폐배터리 재활용 유틸리티 시설 등 전 공정이 망라돼 있다. 배터리 소재나 셀 회사 통틀어 이 같은 생태계를 구축한 사례가 없다는 점에서 포항캠퍼스는 에코프로의 독보적인 경쟁력 원천이 되고 있다.

포항캠퍼스에 입주한 가족사는 모두 6개 회사로 에코프로씨엔지는 폐배터리 재활용을 맡고 있고, 양극재의 주요 원재료인 전구체는 에코프로머티리얼즈가, 수산화리튬 가공은 에코프로이노베이션이, 최종제품인 양극재는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엠이 담당한다. 이들 공정에 필요한 고순도의 산소와 질소는 에코프로에이피가 공급한다. 

에코프로는 양극재 수요가 증가하자 인근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에 2025년 첫 양산을 목표로 양극 소재 생태계를 추가로 조성한다. 에코프로는 포항 블루밸리 국가산단 내 약 21만 평(694,000㎡) 부지에 오는 2028년까지 5년간 약 2조원을 투자할 예정이며, 포항캠퍼스의 클로즈드 루프 에코 시스템을 그대로 이식한다는 계획이다.

관련기사

블루밸리 캠퍼스의 첫 양산이 시작되는 2025년이 되면 에코프로는 최소 1천100명 이상을 고용할 것으로 예상돼, 기존 약 1천900명(2023년 6월 기준)을 포함 두 캠퍼스를 합하면 3천명 이상의 직접 고용 창출이 이뤄진다.

또한 올해까지 약 6년간 투자금을 포함해 지방세 등 세금 납입, 지역 주민 고용에 따른 인건비, 직원 복리후생비 등 주변 상권에 직접적 영향이 있는 비용 등을 모두 더하면 에코프로가 약 3조원이 넘는 지역경제 유발 효과를 만들어 낸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