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우리 죽음을 마케팅 수단으로 쓰고 있다"

美 IT매체 더버지 보도

홈&모바일입력 :2023/09/20 14:58

애플이 최근 진행하고 있는 마케팅 전략이 소비자의 죽음을 활용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IT매체 더버지는 19일(현지시간) “애플이 지속적으로 우리의 죽음을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며, 애플의 최근 제품 마케팅 전략을 강하게 비판했다.

애플이 최근 공개한 아이폰 광고. 아이폰의 SOS 기능을 통해 생존한 이의 사연을 담았다. (사진=더버지)

애플은 최근 몇 년 간 애플워치 광고를 통해 애플워치가 없으면 곰에 물려 죽을 수도 있고, 가라앉는 차 안에서 익사하거나, 쓰레기 압축기에 갇히고, 차가운 호수에서 저체온증을 겪을 수도 있다는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내보내고 있다.

최근에 열린 아이폰15 공개 행사에서는 애플은 애플워치의 심박수 확인 기능과 아이폰의 위성통신을 활용한 SOS 기능으로 목숨을 건진 사람들이 이후 친구, 가족과 함께 생일을 축하하며 소원을 비는 영상을 공개했다.

애플 위성 SOS 메시지 서비스 (사진=애플 홈페이지 갈무리)

이에 대해 해당 매체는 이 같은 광고는 최근 애플워치에서 아이폰까지 확대되고 있으며, 소비자를 불편하게 만들고 무엇보다 죽음에 대한 인간의 두려움을 이용해 제품을 판매하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물론, 이런 광고들이 완전히 틀린 얘기는 아니다.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로 목숨을 건진 사례들이 속속 소개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광고는들은 과거 자사 제품을 사용해 사랑하는 사람들과 소통하는 모습 등을 보여줬던 과거 광고들과는 극명하게 대조를 이룬다고 지적했다.

또, 애플이 이렇게 마케팅 방향을 바꾼 이유에 대해 애플워치, 아이폰 등이 갤럭시워치나 안드로이드폰 등 경쟁 제품과 비교해 점점 더 기능적인 차별점이 없어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또, 애플이 최근 강조하고 있는 안전 관련 기능들은 일정 기간 무료로 제공한 다음 유료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그 이유로 아이폰14 서비스에서 무료로 제공됐던 위성통신 서비스도 2년 동안만 무료로 제공된 후 유료로 제공될 예정이며, 애플의 서비스 부문 매출도 날로 기록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이런 기능들은 향후 애플의 돈벌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