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헬스케어는 네이버·카카오처럼 무겁지 않다

헬스케어 플랫폼 ‘캐즐’은 웰니스·삶 개선 초점 맞춰

헬스케어입력 :2023/09/14 11:49

롯데헬스케어가 헬스케어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오는 18일 정식 서비스되는 헬스케어 플랫폼 ‘캐즐’이 그것인데 네이버와 카카오 등 전통적인 플랫폼 사업 강자도 헬스케어 영역 진출을 선언한 상황에서 롯데만의 경쟁력에 관심이 쏠린다.

이훈기 롯데헬스케어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잠실 롯데월드타워에서 언론과 만나 “플랫폼 사업은 대기업이라고 해도 쉽지 않다”고 운을 뗐다.

‘캐즐’의 가입자는 건강검진 데이터·건강 설문정보·유전자 검사 결과·실시간으로 운동 기록·섭취 영양제 등의 정보 등을 동의하에 제공하게 된다. 이렇게 확보된 정보는 인공지능(AI) 알고리즘으로 분석이 이뤄지고, 그 결과는 이용자 맞춤형 건강 정보와 쇼핑 등으로 다시 제공된다.

그런데 카카오헬스케어가 공개한 당뇨 관리 플랫폼도 결국은 건강관리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단박에 나올 수 있는 질문은 롯데헬스케어는 무엇이 다르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우웅조 롯데헬스케어 사업본부장은 “우린 의료적인 요소만큼이나 삶이 먼저 바뀌어야 한다고 본다”며 “운동·체중관리 등 삶을 어떻게 재밌게 개선할 수 있는지에 초점을 맞췄다”고 지디넷코리아에 밝혔다.

롯데헬스케어의 ‘캐즐’은 일차적으로 ‘웰니스(Wellness)’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웰니스란, 웰빙(well-being)과 행복(happiness) 건강(fitness)의 합성어로, 신체와 정신은 물론 사회적으로 건강한 상태를 말한다. 즉, 롯데헬스케어는 ‘우선은’ 환자가 아닌 보통사람을 타깃으로 하고 있다는 이야기다.

관련기사

롯데헬스케어의 파트너사인 인공지능(AI) 알고리즘 전문 벤처기업 ‘온택트헬스’의 장혁재 대표(세브란스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롯데헬스케어는 보통 사람에게 미래 건강위험도를 바탕으로 건강을 프로모션, 미래 위험도를 줄이겠다는 측면. 서비스의 본질 자체가 다르다”고 거들었다.

그렇다고 영영 웰니스만 추구하고 있다는 것은 아니다. 우 본부장은 당뇨 등 만성질환 관리에 대해서는 “추후 관리 서비스를 고민하고 있지만 형태나 관리는 기존 플랫폼과는 다르게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면서 “차차 지켜봐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