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섭 KT "IT 근간 통신의 가치, 너무 쉽게 잊혀져"

GSMA 모바일360 기조연설...통신사 주도 디지털 전환

방송/통신입력 :2023/09/07 11:19    수정: 2023/09/07 13:23

김영섭 KT 대표가 7일 “지금까지 통신사(Telco)가 제공하는 연결(connectivity)은 IT를 포함해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AI), 클라우드, 로봇, 메타버스 등 모든 신규 기술의 근간이 됐지만 통신은 물이나 공기처럼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그 가치가 쉽게 잊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김영섭 대표는 이날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린 GSMA 모바일360 APAC 컨퍼런스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말했다.

세계이통통신사업자연합회(GSMA)가 개최하는 모바일 360은 유럽,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 등 대륙별 모바일 산업 현안에 대한 어젠다를 정해 논의하는 글로벌 행사다. ‘디지털 퍼스트 미래를 선도하라’를 주제로 열린 이 행사에서는 디지털전환(DX), AI, 6G, 핀테크 등에 대해 논의한다.

김 대표는 통신사 주도의 디지털 패러다임 전환이란 주제로 미래 디지털 사회에서 통신사업자들이 추구해야 할 노력과 국가 디지털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역할을 제시했다.

그는 “통신사업자들이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그 위에 독점적인 통신 서비스를 제공해 수익을 얻는데 만족하는 동안 빅테크 기업들은 통신사가 구축한 인프라에 메신저, OTT, 자율주행, 인터넷 금융 등 혁신 서비스를 내놓아 디지털 생태계의 주인이 됐다”고 진단했다.

이어, “클라우드, AI, 자율주행 등 빅테크기업들이 주도하는 영역에서 대등한 IT 역량을 축적하고 아직 초기 단계인 스마트시티, 메타버스, 디지털 헬스케어, 에너지 등 영역에서 주도권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KT는 ‘디지털혁신 파트너’라는 새로운 지향점을 설정하고 클라우드, AI고객센터, 보안, 메타버스, 교통과 모빌리티를 주요 사업영역으로 선정해 통신사가 중심이 되는 디지털 영역을 목표로 확장을 본격화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또 “통신사업자들이 미래 디지털사회의 패러다임을 주도하기 위해 홀로그램 통신, 도시나 국가 수준의 매시브 디지털 트윈, 딥러닝에 기반한 초지능 로봇, 양자암호통신 등 새로운 방식의 통신이 녹아 든 세상으로 변화를 6G와 새로운 ICT로 선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해 통신사는 통신망부터 준비하는 인프라 퍼스트의 접근이 아닌 고객 경험을 극대화하는 서비스를 선제적으로 발굴, 제시하는 디지털 서비스 퍼스트의 접근을 해야 한다”며 “이 같은 노력은 단순히 기업의 성장을 넘어 국가의 디지털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통신사업 외에 AI와 산업 생태계 협력의 중요성도 강조했다.

김 대표는 “KT는 32개 통신사와 함께 GSMA 오픈 게이트웨이에 참여, 개방형 API 시장을 열고 있다”며, “AI반도체, AI인프라 소프트웨어, 버티컬 데이터를 보유한 스타트업들과 함께 AI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그러면서 “KT는 AI, 클라우드 등 소프트웨어 분야의 미래인재 육성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내부 인력을 디지털 인재로 키우고 있다”며 “아울러 국가 차원의 디지털 역량을 키우기 위해 AI인재 교육과정인 에이블스쿨과 국내 대학에 AI 관련학과를 개설, 운영 중이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개방성과 협력을 바탕으로 인류 삶의 가치를 증진하는 디지털 서비스를 선제 제시하는 것, 그것이 미래 통신사의 존재 이유가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