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부 "5년간 AI인력 1만2800명 부족"···클라우드는 1만8800명

4대 신기술 분야 인력 수급 조사 보고서 발표...빅데이터 1만9600명, 나노 8400명 각각 필요

컴퓨팅입력 :2023/09/01 07:45    수정: 2023/09/01 07:52

고용노동부가 향후 5년간(’23~’27) 인공지능(AI)분야에서 1만2800명이 부족하다는 조사 보고서를 31일 발표했다. 

보고서에서 고용부는 특히 AI분야에서 연구개발(R&D) 등 고급인력 이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보고서는 의료·금융·제조·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활용 확대 및 국제적으로 AI 기술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면서 "고급인력 해외유출 우려 등 고급수준 인력난 심화가 전망된다"고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AI 뿐 아니라 클라우드, 빅데이터, 나노 등 4개 주요 신기술분야의 향후 5년간 신규 인력수급을 전망했다. 이 자료를 바탕으로 고용부는 이날 한국직업능력연구원(원장 류장수)과 함께 직업능력심사평가원에서 '제4차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을 개최, 산업전문가와 기업 관계자와 함께 이들 신기술 분야 업계의 인력현황과 원활한 인력수급 방안을 논의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클라우드분야는 향후 5년간 1만88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됐다. 클라우드 운영부터 개발 전반의 인력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데 보고서는 "서버와 소프트웨어 등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 및 지속적인 시장 성장으로 인력 부족 심화, 특히 서버의 관리·보수 등을 위한 운영인력과 시스템 개발인력 모두 부족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빅데이터 분야는 향후 5년간 1만9600명 부족할 전망이다. 특히 융합데이터전문가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디지털 혁신의 기초인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이 전 산업으로 확산하면서 분야별 전문지식을 겸비한 고급 데이터 인력에 대한 수요가 확대하고 있다"고 짚었다.

이외에 나노분야는 5년간 8400명이 부족하는데, 이는 첨단산업 성장으로 ‘응용기술인력’ 수요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나노기술은 단독 상업화가 어렵지만 디스플레이·에너지·환경·이오헬스·소재 등 첨단분야 성장으로 응용·복합 나노 기술인력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이번 전망 결과는 과기부, 산업부 등이 실시한 산업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인력전망모형을 활용해 인력수요를 도출하고, 정부·민간·대학의 인력양성 현황과 계획을 토대로 인력공급을 분석할 것으로, 향후 5년간(’23~27년)의 수준별(초·중·고) 신규인력 수요·공급 및 수급차를 전망한 것이라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김성호 고용정책실장은 "정부는 신기술분야 인력수급 전망결과를 K-디지털 트레이닝 등 정부 훈련사업 규모와 내용 등에 적극 반영하고, 범부처 ‘첨단산업 인재양성TF’를 통해 관련부처와 함께 신기술분야 인력양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면서 "또한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은 인력유출로 인한 인력난이 더욱 심각하므로, 청년층에 적합한 근로여건, 조직문화 등을 기업 스스로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황성수 한국직업능력연구원 미래인재연구본부장은 “전망결과와 현장의 실제 수급차 간 비교·분석 등 전망기법을 계속 고도화하고,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에서 나온 기업 현장의 생생한 의견이 정부 인력양성 정책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외진 아크릴 대표가 지난 6월말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AI행사에서 박윤규 과기정통부 차관에게 자사가 개발한 AI서비스를 위한 플랫폼 '조나단'을 설명하고 있다.
A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