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전도저온학회 LK-99 검증위원회는 31일 4개 연구기관의 LK-99 시료 재현 실험 결과, 아직 초전도성 특성을 보인 사례는 없다고 밝혔다.
현재 8곳의 연구기관이 초전도저온학회와 연계해 LK-99 재현 실험을 하고 있으며, 이중 4곳이 재현 시료를 제작했다. 한양대 고압연구소와 서울대 복합물질상태연구단, 부산대 양자물질연구실 등 3곳은 퀀텀에너지연구소가 공개한 논문에 공개된 제조 방법을 따랐다. 포항공대 물리학과 연구팀은 별도 공정으로 단결정을 제작했다.
4곳 모두 초전도 특성은 나타나지 않았다고 검증위는 밝혔다. 한양대 시료는 LK-99와 조성 및 특성이 유사하며 저항의 급격한 변이가 있지만, 저항율은 10³Ω·㎝ 수준으로 도체보다는 부도체에 가깝다고 학회는 설명했다. 자화율도 초전도체가 보이는 특성과는 달랐다.
서울대 시료는 LK-99와 결정 구조는 다소 달랐으며, 저항율은 온도가 내려가면서 5-10배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자화율 측정 결과는 전반적으로 약한 반자성 특성만 보였다. 부산대는 합성된 전구체의 조성 비율을 달리 하여 두 종류의 시료를 합성했다. 첫번째 시료의 전기저항 측정 결과, 저온에서 저항이 증가하는 반도체 성질을 보였다. 150-180K(영하 123-영하 93℃) 사이에서 저항 변화가 관측되었지만, 초전도성에 의한 전기저항 감소는 아니라는 판단이다. 두번째 합성시료에 대해선 추가적 측정 및 분석을 진행 중이다.
관련기사
- LK-99 검증위 "시료 일부 제조···초전도성 측정 결과 아직 없어"2023.08.18
- LK-99 정말 '상온 초전도체'인가…국내 연구진이 검증한다2023.08.02
- [기자수첩] 상온 초전도체 열풍···이제 밈 과학의 시대인가2023.08.04
- 배달앱 수수료 7.8%로 인하...'배민 상생안' 극적 합의2024.11.14
포항공대 연구팀은 논문의 제조 방법을 채택하지 않고 별도 공정으로 단결정을 제작했으며, 단결정 시료에서는 앞서 막스플랑크 연구소 결과와 같이 부도체 특성이 확인됐다. 단결정의 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면, 그 외에 나타나는 현상은 불순물에 의한 특성으로 볼 수 있다고 검증위는 밝혔다.
검증위는 "연구기관별로 제조한 시료의 특성이 크게 다르다"라며 "여러 연구기관이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한 많은 시료를 재현해 측정하는 것이 결론 도출에 도움이 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