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UAM 떠다니는 하늘 통신망 품질 실측한다

상공망 통신 품질 예측 위한 시뮬레이터도 개발

방송/통신입력 :2023/08/31 08:58

SK텔레콤은 UAM용 상공망의 통신 품질 실측, 예측, 분석을 위한 통합 솔루션과 시뮬레이터를 개발했다고 31일 밝혔다.

300~600m의 운항 고도와 100~150km/h의 순항 속도로 도심, 준도심, 관광지역 상공 항로를 비행하는 UAM 기체와 유사한 통신 환경을 갖춘 드론을 활용해 상공망의 품질을 측정하는 통합 솔루션을 개발한 것이다.

SK텔레콤이 개발한 통합 솔루션은 드론을 통해 측정한 상공망 품질 데이터를 분석 툴을 활용해 실시간 표시하고 측정 결과를 지도, 그래프, 도표로 시각화해 나타낸다.

또한 통화, SNS, 동영상 시청 등 UAM 탑승객이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시나리오를 적용해 상공망의 통신 서비스 품질을 보다 정확히 평가할 수 있도록 했다.

이와 함께, UAM용 상공망의 통신 품질 예측을 위한 시뮬레이터도 개발했다.

상공망 통신 품질 예측 시뮬레이터는 비행 경로와 고도 설정, 안테나 높이, 상향 틸트, 지향 각도와 빔 패턴 등 통신 품질에 변화를 주는 여러 요소 영향을 통합 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지국 설치 환경, 지상망 간섭 등 현실적인 제약 상황을 고려한 상공망 투자비 산출과 최적 설계 방안 도출에 활용 가능하다.

아울러 시뮬레이터 성능 개선을 위해 향후 최적의 기지국과 안테나 설정값을 추천하는 AI 기반 최적 설계 모델을 개발해 상공망 품질을 높이고 분석 시간을 단축할 계획이다.

SK텔레콤이 개발한 UAM용 상공망 통신 품질 분석 통합 솔루션과 상공망 통신 품질 예측 시뮬레이터는 유기적으로 통합 운영되도록 개발됐다.

드론을 통해 측정한 상공망 품질 실측 데이터는 표준 전파 모델을 적용한 예측 시뮬레이터에 반영되어 실측과 예측 오차를 최소화하는데 사용되고, 시뮬레이터가 제공하는 최적의 상공망 기지국 구축 설정 방법은 테스트 상공망에 적용돼 이후 실증망과 상용망 통신 품질 성능 향상에 사용된다.

이밖에 UAM용 상공망 통신의 품질 향상을 위해 전용 안테나와 상향 틸트, 빔패턴 최적화 기술, 상공 및 고속 이동하는 UAM 기체를 위한 핸드오버 기술 등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하고 있다.

관련기사

3GPP 표준 진화 기술과 AI 기술을 적용해서 상공망 통신 장비 고도화를 하기 위해 다양한 제조사들과 연구 개발을 진행 중이며, 전략적 협력 체계를 구축해 국내 생태계 확대는 물론 글로벌 기술 경쟁력 향상을 꾀하고 있다.

류정환 SK텔레콤 인프라 전략기술CT담당은 “UAM 서비스를 위한 이동통신 기반 상공망 통신을 위해서는 주파수, 전송 기법, 장비 등 전분야에 걸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며 “SK텔레콤은 향후 UAM이 고객들의 안정적 이동 수단이 될 수 있도록 5G뿐만 아니라 향후 6G 진화 핵심 기술 개발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