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4사, "올 상반기 석유 2억 배럴 팔았다"…전년比 3.2% 증가

글로벌 경기 침체 및 내수감소에도 불구, 수출 물량 증가로 극복

디지털경제입력 :2023/07/26 13:43

올해 상반기 국내 정유4사의 석유제품 수출량이 전년 동기 대비 3.2% 증가한 2억2천850만 배럴로 집계됐다.

대한석유협회는 26일 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HD현대오일뱅크 등 국내 정유 4사의 석유제품 수출이 2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수출량은 팬데믹 영향으로 지난 2021년 약 1억9천600만 배럴로 급감해 10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한 바 있으나, 이후 글로벌 이동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2년 연속 증가했다.

이 같은 수출량 증가는 석유화학 경기 둔화에 따른 내수수요 위축과 일부 정유사의 정기보수 등에도 불구하고, 수출확대로 위기극복을 위한 정유업계의 노력으로 풀이된다.

(사진=뉴시스)

다만 수출금액은 국제유가 약세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으로 같은 기간 22.1% 감소한 218억1천100만달러(약27조9천억원)를 기록했다. 석유제품 수출단가에서 원유 도입단가를 뺀 수출 채산성도 글로벌 정제마진 악화에 따라 52% 가량 감소한 배럴당 11.4달러에 그쳐, 정유업계의 상반기 경영실적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관측된다.

한편 석유제품 중 최다 수출품목은 경유로 전체 물량의 41%를 차지했고, 휘발유 20%, 항공유 19%, 나프타 8.0%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항공유는 최근 글로벌 여객수요 증가로  수출이 20.6% 늘었고, 나프타는 중국과 일본으로 수출이 확대되며 41% 늘어나 가장 크게 증가했다.

국가별 수출 순위로는 호주(18.2%), 싱가포르(11.8%), 중국(11.2%), 일본(10.1%), 미국(9.6%) 순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향후 석유제품 수출은 글로벌 경기둔화로 인한 수요감소 우려, OPEC+의 감산 정책에 따른 유가 변동성 확대 등 불확실한 대외여건으로 인해 증가세 지속을 낙관하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대한석유협회 관계자는 “국내 정유업계는 러시아산 저가 원유 수입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중국, 인도 등과 치열하게 경쟁하면서 해외시장 개척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며, “정유업계는 세계 각국으로 저변을 확대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