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협, 필수의료인력 부족사태 한의사 적극 활용이 대안

‘은퇴 시니어의사 활용’ 대안은 기득권 유지를 위한 이기적인 발상

헬스케어입력 :2023/07/18 14:22

필수 의료인력 부족으로 의료현장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가운데 한의계에서 한의사를 활용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대한한의사협회(이하 한의협)가 필수의료인력 부족 사태 해결을 위해 3만 한의사의 적극 활용과 이를 위한 법제도 개선 및 정책추진을 정부당국에 주문했다.

최근 보건복지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인력난의 대안으로 은퇴한 시니어 의사 등을 활용하겠다고 밝힌 데 따른 것이다.

한의협은 “의사협회의 이 같은 생각은 대한민국의 필수의료가 붕괴 위기를 맞고 있는 긴박한 상황에서도 기득권은 절대 놓칠 수 없다는 극도의 이기주의와 자기 밥그릇 챙기기에서 나온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현재의 필수의료인력 부족 사태는 결코 필수의료인력의 소득이나 처우가 나빠서가 아니며, 의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3만여명이 피부와 미용 등 소위 수익창출에 유리한 분야에 쏠려있기 때문”이라며 “그럼에도 의료계는 진정으로 국민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기는커녕, 겨우 은퇴한 양의사들을 활용하자는 대안이나 제시하며 본인들의 기득권 유지에만 혈안이 되어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또 “필수의료인력 부족 사태의 해법은 양방의 왜곡된 피부·미용 의료시장의 개선과 의사들이 의료를 독점하고 있는 기형적인 의료시스템의 대대적인 개편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며 “아직도 본인들의 책무는 방기한 채 건강보험수가 올리기에 열을 올리는 양의계는 뼈를 깎는 반성과 함께 사태 해결에 전향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의협은 “이 같은 상황에서도 의사 눈치보기에 급급한 정부의 우유부단한 행태로 인해 충분한 교육과 임상, 연구 경험을 갖춘 역량 있는 의료인인 한의사의 참여는 철저히 배제되어 있다”며 “필수의료 인력 사태의 조속한 수습과 함께 국민건강증진과 생명보호를 위해 필수 및 1차 의료 분야에서 외면당하고 있는 한의사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며, 이를 위한 법제도 개선과 관련 정책 추진이 무엇보다 절실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