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진료과목별 전공의 수련환경평가 보니 ‘흉부외과’ 통과율 최저

신현영 의원 "전공의 교육수련체계 사회적 관심 절실”

헬스케어입력 :2023/07/13 17:16

최근 5년간 진료과목별 전공의 수련환경평가 결과에서 ‘흉부외과’ 통과율이 최저로 나타났다. 

신현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전공의 수련과목별 수련환경평가결과에 따르면, 전체 평가 통과비율은 ▲흉부외과 ▲내과 ▲예방의학과 ▲이비인후과 순으로 낮았다.

사진=픽사베이

‘전공의의 수련환경 개선 및 지위 향상을 위한 법’ 제 14조에 따라, 복지부 장관은 수련병원등 및 수련전문과목 지정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매년 수련환경평가를 실시해야 한다. 만약 수련환경평가 결과가 2년 연속 낙제했거나 수련환경평가를 고의로 거부할 시 수련전문과목 지정이 취소될 수 있다.

최근 5년간 수련전문과목별 평가 통과 비율은 흉부외과가 90.4%로 가장 낮았다. 이어 ▲내과 95.2.% ▲예방의학과 96.3% ▲이비인후과 96.4% 순 이었다.

지난 2018년 기준 통과율 100%였던 예방의학과는 작년 86.7%로 13.3%p 낮아졌다. 소아청소년과도 2018년 100%에서 2022년 93.8%로 6.2%p 낮아졌다. 반면, 결핵과·마취통증의학과·방사선종양학과·진단검사의학과·병리과 등 5개 과목은 최근 5년간 통과율이 100%였다.

지난해 진료과목별 평균 점수 최저 항목은 ‘전공의 학술활동’ 분야에서 흉부외과·내과를 비롯한 총 8개의 진료과목이 최저점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전문의 학술활동’ 최저점이 6과목, ‘전공의 진료활동’이 5과목, ‘전문의 진료활동’이 1과목 순이었다.

신현영 의원은 “전공의 수련환경 평가는 지식과 능력을 겸비한 전문의 양성을 위한 최소한의 요건으로 반드시 준수돼야 한다”며 “매년 전공의 수련환경 평가가 병원별로 진행되지만, 평가 기준과 결과가 공개되지 않아 평가를 위한 평가라는 비판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수련기간 중 전공의들이 내실 있는 임상진료와 학술활동이 가능하도록 국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며 “의사의 양적 확대 논의에 앞서, 의료계와 함께 올바른 의사 양성을 위한 교육수련 체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