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산업진흥원장, K-바이오 돈 없어 고사위기…복지부 "펀드 조성 어려워"

민간 투자 줄면서 초기 기업 돈 줄 말라

헬스케어입력 :2023/07/11 11:48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이 우리나라 바이오벤처가 고사위기에 처해있다고 진단한 가운데 보건복지부는 K-바이오·백신 펀드의 당초 목표액을 조성하지 못했다고 인정했다.

차 원장은 12일 오전 국회 포럼에서 “국내 초기 성장 단계 기업들이 투자유치 실패와 자금조달 난항에 줄줄이 고사위기에 처할 수 있으며, 데스밸리(Death valley)에 빠져들고 있다”고 말했다. 보건산업 육성 및 연구개발(R&D)을 담당하는 기관의 장 조차 K-바이오의 위기를 우려하고 있는 상황인 것이다.

정부는 ‘바이오헬스 신 시장 창출 전략’에 따라 바이오 기업에 지원코자 5천억 규모의 K-바이오·백신 펀드를 조성하고 있다. 펀드 규모가 크다보니 2천500억 원씩 나눠 조성하고 있지만, 상황이 좋지 않다. 최근 미래에셋은 K-바이오·백신 펀드 운용사 자격을 반환했다. 복지부가 펀드 조성 기한을 연장했지만, 모금 상황을 낙관하고 있지 않다는 반증이었다.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 (사진=김양균 기자)

김현주 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장은 “복지부는 바이오가 차세대 먹거리 산업이라고 보고 펀드를 조성하고 있지만, 아직 조성을 못했다”며 “시장 상황이 어려워서 운용사가 펀드 조성을 버거워했고, 당초 5천억 조성 기간을 3개월밖에 두지 않았다는 문제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최대한 조성코자 다음달까지 2천500억원의 70% 가량을 기업에 투자하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사실 ‘선순환’, ‘전주기 지원’, ‘개발부터 상용화까지’…. 바이오 분야에 대한 정부 지원책에는 이 같은 설명이 자주 붙지만, 아직 국내 바이오산업의 뿌리가 단단하지 않다는 점이 복병이다. 대외 환경이 급변하면 바이오 분야, 특히 벤처와 같이 주머니가 가벼운 기업들의 사정은 더 어려워진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글로벌 경제는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재정 긴축과 함께 시장 금리가 오르고 있다. 여기에 미국 조 바이든 대통령의 바이오 행정명령,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은 바이오산업을 위축시키고 있다.

실제 미국의 경우, 지난해 바이오벤처 투자가 전년도와 비교해 22.8% 줄었다. 유럽의 경우는 사정이 더 안 좋아 53.5%나 투자가 감소했다. 이러한 바이오 기업에 대한 민간 투자 감소 기조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다.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작년 국내 바이오의료분야 투자 규모는 1조1천58억 원이었다. 이는 전년도의 1조6770억 원보다 34.1%가 감소한 것. 바이오 기술특례상장 건수도 작년 8건에 그쳤다. 이는 2019년의 14건 보다 감소한 것. 아울러 해외 벤처캐피탈의 투자도 작년 1분기 이후 5분기 연속 감소하고 있다.

김명기 LSK인베스트먼트 대표는 “창업 기업이 늘어나고 있지만 초기 기업 투자가 작년부터 상당히 감소했다”며 “코스닥 상장된 바이오기업의 가치가 지속적으로 하락하자 투자자들이 투자를 꺼리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2022년 10월 코스닥 제약지수가 최저점을 기록했다”며 “올해 말이나 내년 초 벤처투자의 저점을 기록하며 지금보다 더 나빠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러한 분위기가 보수적인 기술특례 상장 기준을 만들고, 역으로 기업가치가 높음에도 불이익을 받는 상황이 생긴다는 게 김 대표의 설명이다.

관련기사

그는 “신약개발 기업들이 복제약 제조사나 의료기기 제조업체보다 기업가치가 높음에도 보수적인 상장 기준 때문에 상장을 못하고 기업 가치가 하락하는 현상이 생긴다”고 지적했다.

최윤희 산업연구원 성장동력산업연구본부 선임연구위원은 “기업의 성공 모델을 시장에 보여줘서 자연스럽게 자본 환경이 조성되도록 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법제도 개선과 정부·기관들이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