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이집트·루마니아 이어 3번째 원전설비 수출 총력전

관련 프로젝트 점검회의 개최…5조 원전설비 수출 목표 설정

디지털경제입력 :2023/07/05 17:13    수정: 2023/07/06 14:18

정부가 추가적인 원전 수출을 이어가기 위해 수출일감 공급을 비롯해 포트폴리오 다변화 등 해외 시장 창출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을 마련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원전설비 수출 유망 프로젝트 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밝혔다.

우선 정부와 원전 공기업은 ▲신속한 수출일감 공급 ▲원전수출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방위적 정부지원 강화를 골자로 이집트, 루마니아에 이은 3번째 원전설비 수출성과 창출을 노린다는 목표다.

전 세계에 가동 중인 원전은 410기며 최근 계속운전 확대 등으로 개‧보수, 운영‧정비, 핵연료 등 원전설비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반면에, 주요 원전 공급국들은 과거 원전건설 중단 등의 영향으로 원전설비 제조능력이 약화된 상황이다.

루마니아 체르나보다 원전. (사진=한수원)

우선 2027년까지 약 5조원 규모의 해외 원전설비 수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신규사업 수주에 박차를 가한다. 특히, 이번 루마니아 원전설비 수출 성과가 약 2조5천억원 규모로 예상되는 체르나보다 원전 설비개선사업 수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민관합동 원전협력단 파견 등 역량을 최대한 결집하고, 운영‧정비 서비스, 핵연료 공급 등으로 원전수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해 나간다.

또 정부지원도 전방위적으로 강화한다. 관계부처 및 국회와 협의를 통해 ‘원전수출 특례보증보험 제도’ 신설을 추진해 수출기업에 대한 보험 지원한도를 대폭 상향한다. 수출 마케팅의 전 과정을 밀착지원하는 ‘원전수출 첫걸음 프로그램’을 오는 9월, 시범시행(10개사)하고, 2027년까지 독자 수출기업수를 100개사로 확대(현재 약 40개사)해 나간다. 

관련기사

아울러 국내기업들이 원전수출의 결실을 체감할 수 있도록 연내에 이집트 엘다바 관련 기자재(59종) 발주를 모두 마무리하고, 9월부터는 루마니아 관련 기자재(25종) 발주도 시작한다. 

강경성 산업부 2차관은 “3번째 수출성과 창출을 위해 민관 원팀이 돼 원전 설비개선사업, 핵연료 공급, 운영‧정비 서비스 등 수주에 최선을 다하자”면서 “원전수출을 위해서라면 누구든 만나고 어디든 달려가는 영업사원이 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