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K배터리 이차전지 양극재 분석 표준화

리튬 이차전지 양극재의 화학 분석 방법’ KS표준 제정

디지털경제입력 :2023/06/28 14:49

리튬 이차전지 양극재의 품질관리를 위한 시험방법이 국내 최초로 마련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리튬 이차전지 양극재(니켈․망간․코발트 삼원계)의 화학 분석 방법’에 대한 국가표준을 29일자로 제정·고시했다고 밝혔다.

국내 배터리 3사 CI

양극재는 리튬 이차전지의 4대 핵심소재(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중 하나로 배터리의 성능과 가격을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소재다. 양극재 내의 ▲주 성분(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등) ▲미량 성분(알루미늄, 지르코늄 등 금속성 불순물) ▲잔류리튬(탄산리튬, 수산화리튬)의 함량은 배터리의 성능, 신뢰성, 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고순도 양극재의 개발을 위해서는 성분 분석이 필수다.

관련기사

그간 양극재 생산기업 및 배터리 제조사들은 관련 표준이 없어 연구개발단계에서 일정 품질을 유지하는 데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국표원은 2019년부터 표준개발을 추진해와 이번에 국가표준을 제정했다. 아울러 우리나라는 국제표준(ISO,국제표준화기구)으로도 제안해 표준화가 진행 중(WD단계)이다. 오는 2025년에는 최종 국제표준으로 제정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