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2030년 전기차 200만대 판매…"10년간 109조 투입"

인베스터데이서 '현대 모터웨이' 전략 발표…글로벌 전기차 판매비중 34%로

카테크입력 :2023/06/20 17:01    수정: 2023/06/20 17:19

현대자동차가 완성차 업체로 쌓아온 사업 노하우와 기술 역량, 브랜드 유산을 적극 활용해 전동화 전환에 박차를 가하고 오는 2030년까지 전기차(EV) 200만대 판매를 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현대차는 20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투자자, 애널리스트 등을 대상으로 ‘2023 CEO 인베스터 데이(CEO Investor Day)’를 열고 새로운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완성차 시장에서 전통 완성차 업체와 신생 전기차 업체 간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오랜 시간 내연기관 차를 만들고 판매하며 축적해 온 노하우를 바탕으로 신속한 전동화 전환을 추진한다는 것이 현대차의 구상이다.

장재훈 현대차 CEO 사장이 20일 '2023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현대자동차)

특히 현대차는 올해부터 2032년까지 10년간 총 109조4009억원을 투자하는 중장기 재무 계획을 세웠다. 여기서 33%에 해당하는 35조8000억원을 전동화 관련 투자비로 책정했다.

현대차는 고급 브랜드 제네시스를 포함한 글로벌 시장 전기차 판매 목표를 올해 33만대에 이어 2026년 94만대, 2030년에는 200만대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인베스터 데이 때 밝힌 목표치보다 2026년은 10만대, 2030년은 13만대 상향 조정한 것이다.

목표가 달성되면 현대차·제네시스의 전기차 판매 비중은 올해 8%에서 2026년 18%, 2030년에는 34%로 성장하게 된다. 2030년 주요 지역(미국·유럽·한국) 전기차 판매 비중은 53%에 육박할 전망이다. 미국에서 66만대(53%), 유럽 51만대(71%), 한국 24만대(37%) 달성이 목표다.

현대차는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한 중장기 전략 '현대 모터 웨이'를 이날 공개했다.

현대 모터 웨이는 ▲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IMA) 도입을 통한 생산 효율화 ▲ 국내외 전기차 생산 역량 확대 ▲ 배터리 관련 전 영역을 아우르는 밸류체인(가치사슬) 구축 등 3개 전략으로 이뤄졌다.

통합 모듈러 아키텍쳐로 13개 차종 효율 강화…화재도 강해

앞서 2020년 최초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를 선보인 현대차는 2025년 IMA와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 도입으로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선도에 나선다는 계획을 내놨다.

장재훈 현대차 CEO 사장이 20일 '2023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현대자동차)

IMA가 도입되면 차급 구분 없이 86개의 공용 모듈 시스템을 통해 차종을 개발할 수 있어 규모의 경제를 통한 원가 절감 효과가 커진다고 현대차는 설명했다.

현대차는 지금은 E-GMP와 내연기관 플랫폼의 모듈 호환을 불가능한 점을 꼽으며 향후 통합 모듈러 아키텍처가 도입되면 모터, 배터리뿐만 아니라 인버터, 전기전자 및 자율주행 등 핵심 전략 모듈 13개를 공유할 수 있게 된다고 부연했다.

2세대 전용 전기차 플랫폼이 IMA 체계의 핵심이다.

기아 EV6의 모듈형 전기차 전용 플랫폼(E-GMP)(사진=기아)

E-GMP는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차급 중심이지만, 2세대 플랫폼은 소형부터 초대형 SUV, 픽업트럭, 제네시스 상위 차종까지 거의 모든 차급을 아우를 만큼 범용성이 높아질 것으로 현대차는 내다봤다.

현대차는 2025년부터 2030년까지 현대차 4종, 제네시스 5종의 승용 전기차를 2세대 플랫폼으로 개발해 출시할 예정이다. 기아도 4개 차종에 2세대 플랫폼을 적용한다. 총 현대차그룹 13개 차종에 2세대 플랫폼이 적용될 예정이다.

2세대 전용 EV 플랫폼은 5세대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와 고효율·고출력 모터 시스템 등 PE(Power Electric) 시스템을 탑재할 예정이며 향후 경제성, 안전성 등이 장점으로 꼽히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 적용이 추진된다.

전기차 주행거리 확대를 위해 세계 최초로 보조배터리를 활용한 주행 중 충·방전 기술을 적용하는 등 기반 기술 확보에도 주력한다. 향상된 배터리에는 인공지능(AI) 기반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 원격진단 기능을 추가하고 화재 안전을 위해 급속한 열확산 차단 기술도 적용한다.

전기차 수요 성장 대응…생산 역량 강화

현대차는 전기차 핵심 부품인 배터리 관련 역량 강화에도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소재 수급부터 배터리 설계와 관리에 이르기까지 배터리 분야 전반에 걸친 가치사슬도 구축한다.

향후 10년간 9조5천억원을 투입해 배터리 성능 향상과 차세대 배터리 선행기술 개발, 인프라 구축 등을 추진한다. 배터리 전문 업체, 스타트업, 학계 등과의 외부 협업도 꾸준히 확대할 방침이다.

중장기적으로는 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원소재 확보를 위해 폐배터리를 회수해 원소재를 추출, 새 배터리 제조에 재활용하는 체제도 구축할 계획이다.

현대차가 올해 선보일 예정인 하이브리드 신차 모델에는 자체 설계한 배터리가 탑재된다. 앞서 현대차는 2021년 SK온과 하이브리드 차량용 배터리 셀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소재 검증, 적용 비율을 포함한 사양 확정과 설계, 제품 평가, 성능 개선에 이르는 핵심 과정을 직접 담당했다.

가격 경쟁력 확보와 수요 대응을 위해 다양한 배터리셀 개발도 추진한다. 배터리 업체와 공동 개발한 LFP 배터리가 2025년께 전기차에 최초 적용될 예정이며, 추후 탑재 모델을 늘려 나갈 계획이다.

배터리 예열과 냉각 등 배터리 컨디셔닝 기술뿐 아니라 BMS 고도화로 긴 주행거리와 수명, 안전성까지 담보하고자 배터리 관리 역량 확보에도 집중한다.

리튬메탈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차세대 배터리 개발에 속도를 내고 양산성을 검증하고자 의왕연구소에 내년까지 차세대 배터리 연구동을 건설한다. 현대차가 개발한 차세대 배터리는 로보틱스, 미래항공모빌리티(AAM) 등 다른 모빌리티 영역에도 적용될 예정이다.

아이오닉 5 N과 i20 N WRC 랠리카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차는 내달 공개 예정인 첫 고성능 전기차 아이오닉5 N에 현대 모터 웨이 전략이 집약돼 있는 상징적인 모델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내연기관 N모델에서 서스펜션, 차체 내구성, 제동 시스템 등 하드웨어 기술 향상을 이룬 현대차는 기존 전기차 모델을 통해 BMS, 배터리 열 관리, 고성능 주행을 위한 소프트웨어 제어 기술을 향상시켰다. 지금까지 축적한 기술력을 아이오닉5 N에 집대성했다는 뜻이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현대차는 전동화와 미래 기술에 대해 어떤 글로벌 회사보다 선제적으로 대응해 왔으며 앞으로 전동화 톱티어(top-tier) 리더십을 확보해 나가겠다"며 "현대 모터 웨이는 현대차 임직원들이 정립한 혁신 DNA가 구체화한 모습으로, 새롭고 지속가능한 수익 창출의 원천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