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AI 모델, 비즈니스에 더 효율적"

기업 맞춤형 정보만 훈련…범용 모델보다 효율성↑·개발 비용↓

컴퓨팅입력 :2023/06/16 18:39

"앞으로 범용 인공지능(AI) 모델보다 소규모 AI 모델이 사업화에 더 효율적일 것입니다. 기업 비공개 문서와 데이터만 학습해 '나만의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 수 있기 때문입니다. 생성 AI를 사업에 활용할 때, 이 세상 모든 지식은 필요 없습니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임수종 박사는 16일 인천 테크노파크에서 열린 '인천, 초거대AI 산업 경쟁력 강화 네트워킹 세미나'에서 기업 맞춤형 AI 모델이 비즈니스 창출에 효율적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생성 AI를 활용해 돈을 벌려면 세상 모든 지식이 필요 없다는 이유에서다. 또 수천억 드는 AI 모델 개발 비용까지 낮출 수 있다.

네이버 김필수 AI연구원은 네이버 거대 언어모델 발전 필요성에 대해 강조했다. 하나의 큰 거대모델이 중소·중견 기업과 스타트업 비즈니스를 도울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빅테크 소수 모델 독점서 벗어날 것"

ETRI 임수종 박사는 초거대 AI 기술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

임수종 박사는 앞으로 대형 모델보다 소규모 모델이 활성화될 전망이라고 했다. 그는 "기업은 세상 모든 정보를 알지 않아도 된다"며 "반드시 범용 모델을 활용하지 않아도 충분"하다고 했다.

ETRI 임수종 박사. (사진=지디넷코리아)

임 박사는 "기업은 모델에 필요한 정보만 집어넣으면 된다"며 "기업 비공개 문서, 데이터 등으로 모델을 훈련하면 효율성과 생산성 측면에서 범용 모델 활용보다 큰 효과를 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거대 모델보다 맞춤형 소규모 모델이 비즈니스에 더 유용할 것이란 주장이다.

그는 "앞으로 소수 빅테크 기업 모델만 활용되진 않을 것"이라며 "소규모 모델은 비즈니스 최적화를 제공할 뿐 아니라 수천억 드는 모델 개발 비용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임 박사는 ETRI도 소규모 멀티모달 모델 개발을 연구 중이라고 했다. 그는 “작은 모델로 큰 규모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모델을 개발 중”이라며 “올해 말쯤 공개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사진=지디넷코리아)

임수종 박사는 현재 미국이나 유럽이 추진하는 AI 규제를 국내 정부 정책과 비교했다. 임 박사 설명에 따르면 국내 정부는 규제보다 산업을 육성하는 것에 초점을 맞췄다고 했다.

임 박사는 "정부 차원에서 다양한 초거대 AI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했다. 정부가 초거대 AI 이용 활성화를 위한 생태계 구축 사업을 조성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임 박사 설명에 따르면 정부는 기업에 서비스형 AI 기획이나 개발, 서비스 고도화, 데이터 학습 등에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한다. 초거대 AI 활용법에 대한 단계별 교육 커리큘럼도 운영한다. 또 네이버나 KT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 사업자를 직접 선정해 이용료를 지원해 주는 지원도 한다.

그는 "기업의 소규모 모델 활성화와 적극적인 정부 노력은 계속될 것"이라며 "국내 모델 개발사와 수요 기업은 글로벌 생성 AI 시장에서 앞장설 것"이라고 전했다.

"누구나 쉽게 생성 AI 사업할 수 있어야"

네이버 김필수 AI연구원 리더는 네이버 초거대 AI 모델을 통한 사업화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네이버 거대 언어모델 '하이퍼스케일AI'을 통한 상용화 사례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라고 예측했다. 하이퍼스케일AI는 다음 달 출시 예정이다. 기존 버전 '하이퍼스케일' 업그레이드 버전이다.

김필수 AI연구원 리더. (사진=지디넷코리아)

김필수 AI연구원 리더는 현재 상용화 중인 네이버 생성 AI 플랫폼 '클로바 스튜디오'를 소개했다. 클로바 스튜디오는 한 플랫폼에서 마케팅 문구 생성을 비롯한 자연스러운 대화, 데이터 생성, 기획전 구성 기능 등을 실행할 수 있다. 그는 "클로바 스튜디오는 노코트 플랫폼이다"며 "AI 전문가가 아니어도 다양한 기능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고 했다.

김 연구원설명에 따르면 현재 많은 스타트업이 클로바 스튜디오를 활용해 생성 AI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그는 생성 AI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를 예시로 들었다. 그는 "뤼튼은 클로바 스튜디오를 비롯한 GPT 등을 활용해 생성 AI 플랫폼 사업에 한창"이라며 "간단한 키워드 입력으로 완성도 높은 용도별 문구 생성을 지원하는 ‘뤼튼 2.0’을 운영 중이다"고 밝혔다.

(사진=지디넷코리아)

김 연구원은 현재 상용화를 앞둔 '클로바 케어콜'도 설명했다. 이는 독거노인을 위한 AI 플랫폼이다. AI가 노인과 지속적인 음성 대화를 하면서 위험 상황을 인지, 예방하고 중증 질병을 관리해준다. 그는 "클로바 케어콜은 혼자 사는 노인 정서, 생활 문제 등을 대화로 책임진다"며 "사투리 등 특수한 한국어까지 알아들을 수 있어 문맥 파악을 잘한다"고 했다. 김 리더는 "이는 클로바 케어콜 안에 탑재된 하이퍼스케일AI 덕분이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김필수 리더는 클로바 스튜디오처럼 클로바 케어콜 API도 공개할 예정이라고 했다. 그는 “스타트업도 해당 API로 사업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생성 AI 사업을 확장하길 바란다"고 했다. 네이버 기술 중심으로 누구나 사업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도 덧붙였다.

김 리더는 네이버와 정부가 지속적인 기술 협력도 맺는다고 했다. 그는 "인간은 오래전 저장했던 문서를 찾기 힘들어한다"며 "공무원이 특정 정책에 대한 정보를 찾을 때, 하이퍼스케일AI를 탑재한 플랫폼이 이를 돕도록 적극 협력하겠다"고 했다. 네이버는 최근 행정안전부에 이러한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손잡았다고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