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금융권 손잡고 혁신기업에 3년간 4.6조 규모 기술금융 지원

첨단제조·신기술 분야…기업 스케일업·해외 진출에 중점 투자

디지털경제입력 :2023/05/31 15:32

정부가 투자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우수 기술혁신 기업에 3년간 총 4조6천억원 규모 기술금융을 지원한다. 기술금융은 펀드 1조5천억원과 기술혁신대출 3조1천억원으로 구성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1일 산업부 연구개발(R&D) 자금관리 전담은행인 IBK기업은행·신한은행·하나은행과 앞으로 3년간 5천억원 규모 산업기술혁신펀드 조성을 골자로 한 협약을 체결했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앞줄 왼쪽 네 번째)이 산업기술혁신펀드 조성 협약식을 마치고 산업부 연구개발(R&D) 자금관리 전담은행과 R&D 수행기관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산업부는 산업기술혁신펀드를 첨단 제조업과 유망 신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기업 스케일업과 해외 진출 지원에 중점 투자한다. 올해는 2천억원을 모(母)출자해 5천억원 규모 7개 자펀드(글로벌 진출, 에너지, 항공‧로봇, 기업형VC, 디지털전환, 중견기업, 규제 샌드박스 참여기업 등)를 조성한다. 산업부는 신속한 자금 공급을 위해 동 조성식 이후 즉시 운용사 선정과 매칭 자금모집에 나선다.

또 산업부 R&D 수행기업을 대상으로 3조1천억원 규모 기술혁신 전문 대출 프로그램도 시행한다. 산업부는 지식재산권 등 무형자산을 담보할 수 있고 0.7% 우대금리도 적용돼 기업의 자금 확보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기대했다.

산업부는 이날 펀드 조성식 이후, 기술투자 금융상담회를 개최해 기업에 펀드 수요매칭, 투자·대출 상담 기회를 제공했다.

관련기사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 제1차관(왼쪽 네 번째)이 31일 산업기술혁신펀드 조성 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은 “산업기술혁신펀드는 관 주도에서 벗어나 민간 중심 모험자본시장을 여는데 큰 의미가 있다”며 “산업부는 이 펀드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투자 연계 R&D 강화 등 다양한 지원을 병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기술금융 관련 구체적 사항은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한국산업기술진흥원·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과 기업·신한·하나은행 영업점을 통해 안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