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소비자 편익 반쪽될 것"

31일부터 개시…업계 "시중은행 참여도 떨어져"

금융입력 :2023/05/18 11:06    수정: 2023/05/18 11:34

온라인 플랫폼에서 금융소비자가 보유한 것보다 좋은 조건의 대출로 갈아탈 수 있게 한다는 취지로 준비되고 있는 대환 대출 플랫폼 서비스가 반쪽짜리에 그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8일 대환 대출 서비스를 준비 중인 업계의 이야기를 종합해보면, 시중은행 참여가 저조해 대환 대출은 일부 지방은행과 저축은행 대출만 비교해보는 데 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높다.

대환 대출 서비스는 53개 금융사에서 받은 대출을 영업점 방문 없이 유리한 조건으로 옮겨갈 수 있게 하는 것이 골자로, 네이버파이낸셜·카카오페이·토스·핀다가 준비 중이다.

(사진=이미지투데이)

과거 2021년 7월에도 금융위원회가 금융소비자 편익을 위해 이 같은 서비스를 핀테크 업체를 통해 제공하겠다는 계획이었으나 은행과 핀테크 금융당국 간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무산된 바 있다. 

이후 정부 주도로 대환 대출 서비스를 제공하자는 데 의견이 모여 금융결제원이 금융소비자의 대출 보유 사항을 조회하고 확인할 수 있는 인프라도 만들었으나 결국 대환 대출 서비스는 공급되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윤석열 대통령이 은행의 과점 체계를 비판하면서 대환 대출 서비스에 속도가 붙어 오는 31일 개시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에는 카드론도 대환할 수 있게 만들었다.

우여곡절을 겪은 대환 대출 서비스 오픈이 머지 않았지만 업계에서는 흥행 실패 확률이 높다고 관측한다. 이번에도 은행권이 자신의 대출 상품을 대환 대출 플랫폼에 공급하길 꺼려해서다. 

우리나라의 가계 대출 절반 이상이 은행권 대출이라는 점에서 플랫폼 사업자들은 이들의 참여없이는 반쪽짜리 대환 대출 서비스에 지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은행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가계신용 규모는 1천867조원이며 올해 4월 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천52조3천억원으로 56%에 달한다.

업계 관계자는 "은행이 네 군데 사업자에 모두 참여하는 것도 아니라서 금융소비자는 대환 대출을 위해 자신이 대출을 보유한 곳으로 또 이동해야 하는 불편함도 생길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또다른 관계자는 "은행이 대환 대출 플랫폼에 들어온다 하더라도 어떤 상품을 줄지도 모르겠으며, 준다 하더라도 대출 한도를 열어주지 않으면 갈아탈 수 없기 때문에 결국 소비자 편익을 저해할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업계에서는 은행이 대환 대출로 인해 고객을 빼앗기고 수익이 저해된다고 하지만 금융소비자의 대출 조회를 위해 수수료수익을 챙기고 있다고 말했다. 대환 대출을 위해 금융결제원을 통해 보유 대출을 조회하는데 건 당 수수료는 15원 수준으로 알려졌다. 오픈뱅킹 API를 이용 시 자산 조회 수수료는 5원이다.